쌍용건설 인수전에 단독으로 참여한 이랜드그룹이 사실상 발빼기에 나선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쌍용건설 우발채무 대부분에 대해 지급보증을 요구하는 등 기존 매각 대금 할인 외에도 무리한 조건을 캠코측에 들이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랜드가 보유한 실탄도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자칫 쌍용건설은 디폴트가 우려되고 있는 상황이다.
1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캠코와 이랜드의 쌍용건설 지분 매각 가격협상 시한이 이날까지로 정해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랜드로부터 유상증자 등 자금을 수혈받아 쌍용건설이 다시 회생하느냐 아니면 또다시 벼랑끝에 서느냐 기로에 서 있는 셈이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쌍용건설 매각이 무산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이랜드가 단순히 가격을 깎아달라는 수준이 아니라 인수 후 발생하는 추가 부실에 대한 지급보증을 요구하는 등 사실상 캠코가 받아들일 수 없는 요구를 하고 있다는 게 근거다.
인수합병(M&A)업계 관계자는 “안그래도 헐값매각 논란에 팽배한 가운데 캠코가 지급보증 요구를 받아들일리 만무하다”며 “이랜드차이나 등 기업 공개를 통한 해외 자금 수혈에도 차질을 빚고 있는 이랜드가 발을 빼는 수순을 밟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쌍용건설의 재무 상황은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다. 실제로 올 상반기에 803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고 부채비율은 692%로 1분기(510%)에 비해 182%포인트나 치솟았다. 매각이 지연돼 유상증자가 지연되고 있는 데다 국내 경기 침체 직격탄을 맞고 있기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새 돌파구가 마련되지 않을 경우 쌍용건설은 유동성 위기 지속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때문에 쌍용건설의 대주주 이자 매각 주체인 캠코가 매각 차질에 가장 책임이 큰 만큼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해외 고급건축으로 이름이 알려진 쌍용건설이 정부의 관리를 받았는 데도 디폴트를 선언한다면 대외 신인도에 큰 타격이 불보듯 하다는 점도 반영되고 있다. 쌍용건설 매각에 정통한 관계자는 “유상증자와 수의계약 사이에서 수의계약을 택한 자체가 캠코의 패착이었다고 볼 수 있다”며 “쌍용건설 매각 가격은 국내 건설사의 M&A가격을 결정한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매우 크다. 헐값 매각이라면 업계의 반발도 만만치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이랜드 관계자는 “쌍용건설 인수 의지는 여전하다. 다만 업황과 회사 여건을 감안해 보수적으로 접근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