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은행빚 100조 연내 만기도래

입력 2012-07-05 13:55수정 2012-07-05 14:0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가계 은행빚 100조원에 만기가 연내 도래해 또 다른 뇌관이 될지 금융권의 이목이 집중되고있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말까지 만기가 돌아오는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은 79조5000억원, 신용대출은 18조5000억원으로 각각 추산된다.

일시상환대출의 경우 만기연장률이 87.4%에 달해 실제로 갚아야 하는 금액이 우려할 수준은 아니지만 결국 만기도래하는 금액을 상환해야 하기 때문에 생활고를 겪는 서민들에게 압박요인으로 작용할 수 밖에 없다. 이는 국내외 경제 불안이 지속되고 있는데다 빚을 갚을 수 있는 서민들의 여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가계부의 부채상환능력을 보여주는 가계 신용위험지수는 올해 3분기 38까지 치솟으며 9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 지수가 높을수록 가계의 빚 갚을 능력이 약화됐다는 의미다.

지난 4월 기준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이 308조원으로 전년동월대비 5.4% 늘어나는 데 그쳐 지난 2008년 5월 5.1% 이후 약 4년 만에 가장 낮은 증가율을 나타났다는 지표에도 만약 기뻐할 수 없는 이유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빚을 갚지 못해 집을 내놓는 사례가 늘어나는 실정이다.

최근 지지옥션의 집계를 보면 올해들어 지난달까지 수도권 아파트 경매건수는 1만3210건으로 전년 대비 6.0% 증가했다. 이 수치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인 2008년 5541건에서 2009년 1만372건으로 두 배가량 뛰어오른 뒤 2010년에는 1만180건, 2011년에는 1만2465건을 기록했다.

더욱이 매각 감정가도 70%가량 적용돼 제 값을 못 받고 있다.

대법원에 따르면 올해 1~7월 서울에 위치한 아파트 매각가율(감정가 대비 낙찰된 금액 비율)은 77.6%로, 카드사태 직후인 2004년 79.8% 이후 처음으로 80% 아래로 떨어졌다. 지난 1~7월 인천(72.8%)과 경기(73.6%) 등 수도권의 아파트 매각가율도 70%대에 머물렀다.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나 신용회복위원회와 같은 구제기관에 도움을 요청하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캠코가 운영하는 바꿔드림론(저금리 대출 전환) 신청자는 3만983명, 신청금액은 333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58.9%, 68.5% 늘었다. 지난해 1분기 신복위의 개인워크아웃 접수건수는 1만8838건으로, 전분기 대비 1.5% 증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