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마주 광풍이 몰아치면서 상반기 금융당국이 검찰에 넘긴 불공정거래 건수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금융감독원은 올해 상반기 중 134건의 불공정거래 사건을 조사·처리했다고 밝혔다. 전년동기대비 36.7% 증가한 수치다.
특히 조사결과 중대한 위법사항이 발견돼 검찰에 고발 또는 통보한 사건은 112건으로 55.5% 급증했다. 검찰에 이첩한 불공정거래 혐의자는 총 259명으로 27% 증가했다.
테마주에 대한 조사를 확대한 데 따른 것이다. 금감원은 상반기 중 테마주 관련 42건의 불공정거래를 조사해 38건을 검찰에 넘겼다.
검찰에 이첩한 112건 중 부정거래는 33건으로 전년동기대비 두배가까이 증가했다.
경영진 또는 대주주가 허위공시를 하거나 증권방송전문가 등이 허위사실을 유포하는 사례가 두드러졌다.
시세조종행위는 56건으로 두배넘게 증가했다.
미공개정보이용 행위는 19건으로 작년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다만 대주주 등이 기업실적 저조에 따른 악재성 정보가 공개되기 전에 보유주식을 매도하는 사례가 두드러졌다.
시장별로는 코스닥시장이 81건으로 전체의 72.5%를 차지했다.
코스닥 기업을 대상으로 한 부정거래 행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08년 4건이던 부정거래 건수는 2009년 11건, 2010년 16건, 작년 27건으로 늘어났다.
금감원 관계자는 "테마주 관련 불공정거래가 계속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투자자는 근거없는 주가상승 또는 풍문에 현혹되지 말고 기업 실적 등을 철저히 분석한 후 투자여부를 판단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