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公 등 13곳 줄줄이 임기만료…"반쪽짜리 사장될라" 후보 없어
평상시라면 정치인과 고위 공무원들이 서로 오려고 하겠지만 대선 결과에 따라 반년짜리 사장이 될 수 있어 꺼리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공기업 사장 임기를 대통령 임기와 맞춰야 한다는 대안도 나오고 있다.
11일 정부와 업계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 기관장 임기가 만료되는 공기업은 부산항만공사와 수자원공사, 관광공사, 광물자원공사, 석유공사, 인천공항공사, LH, 가스공사 등 13곳에 달한다.
문제는 현재 공석이거나 임기가 만료되는 공기업 사장에 오려는 인사가 많지 않아 조직 운영에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이다.
올해 하반기에 공기업 사장으로 임명되면 연말 대통령 선거 결과에 따라 내년 초에 사장 자리를 내놓아야 할 가능성이 높다. 정권의 입맛 따라 좌우되는 공기업 사장 임기를 사실상 보장받기 어렵다는 점에서 평소라면 환영받을 공기업 사장직이 기피 대상이 된 셈이다.
실제 한수원 사장은 한 차례 사장 공모를 실시했으나 적임자를 찾지 못해 재공모 이후 김균섭 신성그룹 부회장이 최종 후보로 추천됐다. 또 이에 앞서 예금보험공사 사장 자리는 1차 후보자 접수 당시 지원자가 1명에 불과했고, 재공모를 실시했으나 2차 공모에서도 유력 인사들이 지원하지 않았다.
공기업 등 공공기관에 대한 정권의 낙하산 및 보은 인사는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대선 후 논공행상을 가릴때 가장 바뀌기 쉬운 자리가 공기업 사장이란 말도 새롭지 않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마땅한 인물 찾기에 어려운 정부의 고심도 깊어지고 있다. 정부로서도 중요한 국책 사업을 추진 중인 주요 공기업의 사장 자리를 공석으로 둘 수도 없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공기업 사장 임기를 2, 3년제로 하는 등의 방법으로 대통령 임기와 맞춰야 한다는 대안도 내놓고 있다.
한 정부 관계자는 “공기업 임면권자는 대통령이기 때문에 하반기 사장 임기가 만료되는 공기업 후임 사장 인선에 대해서는 어떻게 흘러갈지 예상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연임이라던지 신규라던지 하는 것들도 정해진 바가 없고 전달받지 못했으며 지원자들이 없을 경우 공백 사태도 불가피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