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레일 발목잡는 국토부...경영난 심화·용산사업 타격

입력 2012-06-07 11:21수정 2012-06-11 15:3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국토해양부가 서울역 등 코레일 역사(驛舍) 국유화를 추진하고 나서 파장이 예상된다. 특히 역사를 국유화하면 새로 임대료를 내야하는 코레일의 부채비율이 크게 높아지는 등 경영난이 더 심각해질 것이라는 지적이다.

게다가 코레일이 선투자(랜드마크 빌딩 선매입)에 나서 천신만고 끝에 정상화 궤도에 오른 용산역세권개발사업도 자금 조달 실패(1조원 유상증자)에 따른 사업 장기간 표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7일 국토부·코레일·관련업계에 따르면 국토부는 코레일이 소유한 전국 425곳 역사 국유화 방안 등을 담은 ‘철도자산처리계획 변경안’을 철도산업위원회에 제출하고 철도시설공단, 코레일과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할 예정이다.

정부가 국유화를 추진키로 한 역사는 모두 2조원 규모다. 이는 연말까지 KTX 민간 경쟁체제 도입(민간사업자 참여)를 위한 사전 정지작업에 해당한다는 게 국토부의 설명이다.

그러나 정부가 현물로 출자했던 코레일 역사를 국유화 할 경우 인원을 감축하고 임대료까지 내야하는 코레일로서는 긴축경영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특히 이 결과로 9조7000억원(2010년 기준)에 이르는 부채가 추가로 늘어나는 등 코레일의 경영사정이 더 악화될 것이라는 지적이다.

코레일이 주도하고 있는 사업비 31조원 규모 용산역세권개발 사업도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시각이다. 유상증자(1조원)를 통해 서부이촌동 주민 보상대금을 마련하려고 했던 계획도 코레일의 자금 조달 능력에 문제가 생기면서 물거품이 될 가능성이 커지는 까닭이다. 이에 건설업계의 불만도 커지고 있다. 용산역세권개발사업이 정상궤도에 오르면서 대규모 수주(8조원)를 기대했지만 ‘일장춘몽’에 그칠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대형건설사 한 관계자는“코레일이 경영난에 빠지면 어렵게 정상화 국면에 오른 용산역세권개발사업도 타격이 불가피할 것" 이라며 "전체 산업경기를 감안해서라도 코레일을 위기로 몰아가는 것은 바람직해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