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안싸움에 ‘정책’ 실종된 통진당

입력 2012-05-10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책 묻자 “경선 때문에 난린데 그럴 겨를이 어딨냐” “통진당에 표 준 진보성향 유권자 무시하는 처사”

비례대표 부정경선 사태를 놓고 통합진보당의 내홍이 장기화하면서 ‘정책’이 실종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미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은 총선공약 이행을 위한 분야별 특위를 꾸렸다. 반면 제3정당으로 격상한 통진당은 당권파와 비당권파의 이전투구 양상으로 정책 실현과 관련한 모든 일에 손을 놓고 있어 “진보·개혁적 가치가 실종됐다”는 지적이 쏟아진다.

이지안 부대변인은 10일 총선공약 실천과 관련한 특위구성 일정을 묻자 “비례대표 (비리)경선 때문에 난리인데 그럴 겨를이 어디 있냐”면서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였다. 계파갈등에 매몰돼 정책과 비전이 실종된 구태 정치를 입증한 셈이다.

다른 당직자도 “내부 문제 때문에 정책과 관련해 전혀 활동하는 바가 없다”며 “당 홈페이지에 올려놓은 것을 참고해라”고만 했다.

통진당은 지난 4·11총선 경제부문에서 30대 기업집단을 3000개의 전문기업으로 전환하겠다는 다소 허황된 ‘재벌해체’ 주장부터 “냉전시대 유산이자 국민 기본권을 제한한다”는 이유를 들어 향토예비군설치법을 폐지하겠다는 공약 등을 두루 내놨다.

한미 동맹해체와 미군철수, 한미 FTA폐기, 제주 해군기지 백지화 등 급진적 좌경정책이 주를 이뤘지만 지지율 10%를 넘기며 13석을 거머쥐었다. 그만큼 진보적 가치에 동의하는 유권자들이 늘었다는 얘긴데 제도권에 처음으로 진입한 좌파정당이 ‘정책 실현은 뒷전’이라는 잘못된 선례를 남겼다는 지적이다.

통진당의 행태가 좌파세력의 현실 정치 참여에 관한 국민적 불신을 야기했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봇물을 이룬다.

조동근 명지대 교수는 “정책실천과 선거공약 이행은 유권자와 정당 간 계약서의 성격을 지니는 중요한 문제”라며 “통진당이 내분에 빠져 공당으로서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한다면 스스로 존재가치가 없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정책과 비전을 보고 통진당에게 표를 준 진보성향 유권자를 무시하는 처사”라고 꼬집었다.

한편 진보신당이 총선에서 2% 당 지지율 획득하지 못해 당을 해체한 틈을 타 ‘진보당’으로 이름을 바꾸려던 통진당의 당명변경 시도는 옛 민주노동당원이 먼저 명칭을 등록하면서 실패로 돌아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