佛 올랑드 시대…그에게 유럽이 달렸다

입력 2012-05-07 10:43수정 2012-05-07 12:1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결국 정권심판론이 판세를 좌우했다.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사회당 대통령 후보가 6일(현지시간) 대선 결선 투표에서 약 52%의 득표율을 올리면서 엘리제궁 입성에 성공했다.

이날 투표율은 80%를 넘었다.

유럽 재정위기 사태가 뚜렷한 해결책을 찾지 못한 상황에서 치러진 이번 선거에서 프랑스 국민들은 경제위기를 제대로 수습하지 못한 니콜라 사르코지 대통령을 심판한 셈이 됐다.

유로존 2위 경제국인 프랑스는 재정위기 사태를 피해가지 못하며 차기 뇌관으로 거론되고 있는 상황이다.

올초 최고 국가 신용등급 ‘AAA’를 박탈당하며 세계 5위 경제국의 자존심도 무너졌다.

이번 대선의 주요 이슈는 성장 부진과 실업자 확산, 부자증세 등과 같은 경제 문제였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 재정위기 사태 해결을 함께 추진했던 사르코지의 ‘강한 프랑스론’이 더이상 먹히지 않은 것이다.

올랑드는 당선이 사실상 확정되고 난 뒤 “경제 성장과 채무 감축이 우선정책”이라면서 “더 이상 긴축이 경제 위기를 해소하는 방안이어서는 안된다”라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올랑드가 서민을 공략하기 위해 내세운 연 100만유로 이상 소득자에 대해 소득세를 75% 부과하겠다는 부자증세안을 비롯한 경제공약이 표를 이끈 것으로 보고 있다.

문제는 올랑드가 재정적자 감축을 위한 유로존의 최대 과제인 긴축이 아닌 성장을 중시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는 지난해 재정위기 사태 해결을 위해 마련한 ‘신재정협약’의 시행에 제동을 걸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일각에서는 유로존 구제의 큰 틀인 신재정협약을 비롯해 긴축 정책의 방향과 내용이 수정될 것이라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독일 중도 좌파 성향의 일간지인 쥐트도이체차이퉁은 프랑스 대선 결선을 앞두고 올랑드가 당선되면 메르켈과의 대립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방안이 확대되는 쪽으로 재정협약이 수정될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이날 그리스를 비롯해 독일과 세르비아 등에서 실시된 선거에서도 집권연정이 패배하면서 각국의 유권자들은 그간 정부의 긴축 재정 대한 염증을 여실히 나타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