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FTA 발효 한 달…미국산 와인 값 싸졌다

입력 2012-04-15 19:2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미 FTA 발효 한 달을 맞아 각 품목군별 관세·소매가 인하율을 조사해 본 결과 미국산 와인이 가장 많이 싸진 것으로 파악됐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과 한국수입업협회는 ‘한미 FTA 발효 1개월, 미국산 수입품 가격동향 및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한미 FTA의 도·소매가 인하 효과를 각각 7.0%와 6.3%(예정 포함)로 진단했다.

이 보고서는 한미 FTA 발효로 5% 이상 관세가 인하된 품목을 수입하는 203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했으며, 전체 응답기업의 75.9%가 도매가격을 인하(28.6%)했거나 인하를 계획 중(47.3%)이며, 72.4%가 소매가격이 인하(17.2%)되었거나 인하될 것으로 전망(55.2%)했다.

한편 전체 응답기업의 98.0%가 FTA를 활용(56.2%)하거나, 활용예정(41.9%)인 것으로 나타나, 업체들이 비교적 빠르게 FTA 활용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품목군별 소매가격 평균인하율은 와인·맥주(13.0%), 과일·견과류(9.6%), 육류·어류(7.7%), 주스·음료(7.0%) 등이 비교적 높았고, 의약품·비타민(2.7%)은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구체적인 사례로는 돼지고기 수입 A사(도소매가 8~9% 인하), 오렌지 수입 B사(10~15% 인하), 오렌지주스 수입업체 C사(10~20% 인하) 등이 있었으며, 악기를 수입하는 D사도 품목별로 이미 6~8% 내외로 가격을 내렸거나 향후 3개월 내 추가 인하를 계획하고 있다.

와인(발효 즉시 관세 15% 철폐) 수입 업체들은 10~15% 가량 가격을 내렸으며, 자동차(발효 즉시 관세 8%에서 4%로 인하, 4년 뒤 철폐) 수입업체들도 지난해 말부터 모델별로 2~7% 가량 가격을 조정했다.

한편, 일부 업체들은 정보 부족으로 FTA를 적절히 활용하지 못하고 것으로 나타났다. 여타 FTA와 달리 한미 FTA는 관세 혜택을 받기 위해 필요한 원산지 증명서를 생산자, 수출자, 수입자 중 누구라도 제출할 수 있는데 이를 알지 못해 혼선이 빚어지고 있다.

따라서 국내 수입업체를 대상으로 FTA 세율 정보 및 서류작성 등에 관한 상세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미국 수출업체의 준비부족으로 FTA 활용이 어려운 사례도 많아 미국 현지에서의 홍보와 교육 역시 강화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송송이 무협 국제무역연구원 수석연구원은 “현재 발효된 FTA 중 한미 FTA가 시장개방의 폭과 속도에 있어 파급효과가 클 뿐 아니라, 많은 업체들이 발효 초기부터 적극적인 활용에 나서고 있어 소비자 후생으로 직결되고 있다”며 “관세인하 효과가 소비자가 인하로 지속 연결될 수 있도록 소비자단체를 중심으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공정한 수입유통 질서 확립을 위한 정부 조치도 강화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