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심장장애’판단기준 대폭 완화

입력 2012-04-12 12:0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장애인등급판정기준 개정 추진

심장장애의 판정기준이 대폭 완화될 방침이다.

보건복지부는 12일 심장장애 판정기준의 개정을 주요 내용으로 한 장애인등급판정기준(고시)의 개정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현재까지 심장장애는 △흉부X선 검사 또는 심전도 등 검사결과 △심장수술 및 중재시술 병력 △입원병력 △입원 횟수 △치료병력 △운동부하검사 또는 심장질환증상중등도 △심초음파 또는 핵의학검사상 좌심실 구혈율 등 7가지 임상 소견을 점수로 환산해 판정했다.

개정안은 이중 입원병력 및 횟수 항목의 점수를 낮추고 심장기능검사의 점수 배점을 높였다.

또 선천성심장질환을 가진 성인이 늘어나는 추세를 반영해 성인·소아청소년 기준으로 분리됐던 선천성심장질환을 통합하고 해당 배점을 높였다.

이번 개정에서는 심장장애 판정기준 외에도 기타 장애 판정기준의 합리성을 높이기 위해 장애의 고착이 분명한 경우를 추가 명시했다.

지체절단 외에도 척추고정술, 안구적출, 청력기관의 결손, 후두전적출술, 선천적 지적장애 등 장애상태의 고착이 명백한 경우에는 6개월간의 치료기간 확인 및 재판정을 하지 않도록 했다.

또 뇌병변장애 재판정은 의무적으로 하지 않고 필요한 경우에 시행하도록 했고, 파킨슨병의 경우에도 장애의 변화가 예상되지 않는 경우 의무적 재판정을 제외할 수 있게 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장애등급판정기준의 합리성과 공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개정안에 대한 행정예고는 이달 13일부터 5월 3일까지 20일간 시행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