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서발 KTX 운영기업 실투자비 3600억~4000억”

입력 2012-03-11 10:3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자기자본금 1600억원 이상 보유한 민간 기업은 2015년 개통하는 수서발 KTX 운영권 입찰에 참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국토해양부는 9일 오후 정부 과천청사 대강당에서 'KTX 경쟁 체제 도입 관련 설명회'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을 설명했다.

이날 행사는 2015년 개통하는 수서발 KTX 신규 운영자 선정을 위한 사업제안요청서(RFP) 초안에 대해 설명하고 업계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코레일, 서울메트로 등 철도 관련 공기업과 동부건설, 금호고속, GS건설 등 민간기업 등 총 30여개 회사 관계자가 참석했다. '황금노선'으로 인식되는 수서발 KTX 사업권에 대한 높은 관심을 드러낸 것이다.

고용석 국토해양부 철도운영과장은 이 자리에서 "수서발 KTX 운영에 참여하는 민간 기업의 실질 투자비는 3600억~4000억원으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국토부의 RFP 초안에서 자기자본을 총투자비의 40% 이상로 규정하고 있는 고려하면 최대 1600억원의 자본금만 있으면 수서발 KTX 운영 사업자로 참여할 수 있는 것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 정도 금액은 민간 사업자가 큰 부담을 느끼지 않을 수준"이라며 "대규모 자본을 가진 대기업뿐만 아니라 많은 기업이 경쟁에 참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이어 수서발 KTX 운영사로 선정되면 철도 차량을 이용한 판매, 광고뿐 아니라 렌트카 사업, 관광·레저, 버스 사업 등 철도 운영과 연관된 사업을 부대사업으로 허용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코레일의 최대 90%로 책정한 운임과 관련해서는 "아직 물가인상률을 어느 정도 반영할지 미정이지만 이 요금 역시 코레일 요금처럼 향후 물가 인상분을 반영해 인상(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민간 컨소시엄 구성시 대기업 지분율을 49%로 잡은 반면 공기업 지분율은 11%로 제한한 이유에 대해서는 "민간사업에 공기업 지분이 너무 크면 자율경영을 침해할 소지가 있다고 판단했다"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이날 설명회에서는 매출의 40% 이상으로 설정된 선로 사용료가 너무 높게 책정됐다는 지적이 일부 기업들로부터 제기되기도 했다.

정부가 수서역을 출발하는 고속철도 수요에 대한 계산을 적절히 했는지에 대한 의문을 표현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정부는 2016년 기준으로 수서~부산 승객은 5만353명, 수서~목포 승객은 1만9822명으로 추정하고 있다.

국토부는 이날 청취한 업계의 의견을 반영해 RFP와 사업자 평가 기준 등을 좀 더 가다듬은 뒤 이달 하순 업계를 상대로 다시 한 번 설명회를 연다.

이후 4·11 총선이 끝나면 수서발 KTX 운영에 참여할 민간 컨소시엄을 모집하는 공고를 내 철도 경쟁 체제 도입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한편 이날 설명회에 앞서 'KTX 민영화 저지와 철도 공공성 강화를 위한 범국민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는 과천 국토부 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토부를 강하게 성토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