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정부지원 시스템 변화 필요

입력 2012-03-08 12:4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기술개발 지원방식 탈피 마케팅과 연결 중기 브랜드 개발 전문기관도 설립해야

세계에서 인정받는 중소기업을 키우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 시스템을 바꿔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8일 기획재정부가 주최한 ‘제1회 장기전략 네트워크 간담회’에 발제자로 나선 김익성 중소기업연구원은 글로벌 강소기업을 키우기 위해서 정부의 지원 시스템 변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 연구원은 우선 독일처럼 세계적인 강소(强 小)기업을 육성하려면 부품소재시장의 인프라를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단순한 기술개발 지원을 벗어나 사업화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연구개발(R&D)와 마케팅을 연결하는 지원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밝혔다. 기술성과 사업성 위주로 정책자금을 공급해 기술개발과 마케팅 전략의 연계성이 높아지도록 유도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대기업에 비해 브랜드 파워가 없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 판로애로 해소를 위해 브랜드 지원시스템 구축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를 위해서는 중소기업 전용 브랜드 개발 전문기관을 설립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중소기업 사업전환과 유통혁신을 촉진하기 위한 재고처리 전문시장 개설과 활성화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신속한 재고처리를 통해 중소기업 유동성 확보와 기업도산을 방지하자는 이유에서다.

재정부는 이날 간담회에서 논의한 내용을 대중소기업 분야 장기전략 수립시 검토해 반영 여부를 결정키로 했다.

장기전략 네트워크는 매달 주제별로 자문그룹 안에서 관련 전문가를 초청해 발제ㆍ토론하는 방식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한편, 오는 9월 발표될 제1회 장기전략보고서는 저출산, 고령화, 신성장동력, 다문화 가족, 에너지자원 확보 등 시간이 지날수록 중요성이 커지는 현안을 포괄할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