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랜드그룹 부영 일진그룹 등 국내외 6개 투자자가 몰려 흥행이 점쳐졌던 쌍용건설 예비입찰전이 결렬된 것은 결국 이 회사 경영권 확보가 쉽지 않다는 판단이 작용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캠코 등 쌍용건설 채권단 지분(50.07%)을 인수하는데 성공하더라도 만약 쌍용건설 우리사주조합이 우선매수청구권(24.72%)을 행사하면 경영권을 장악할 가능성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우선매수청구권은 인수희망자가 제시한 가격에 우리사주조합에서 지분을 먼저 사갈 수 있는 권리다.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돼 실사작업을 거쳐 적정가격으로 흥정을 하고 나서도 우리사주조합과 최대주주가 되기 위한 치열한 지분싸움을 또 벌여야 하는 것이다. 우리사주조합을 설득하지 못하고는 쌍용건설 경영권을 가져가지 못한다는 얘기가 그래서 나온다.
게다가 기업 이미지 훼손도 인수전 흥행 실패의 요인으로 분석된다. 인수합병(M&A) 업계 특성상 인수전에 뛰어들면 시장의 검증을 받는 과정을 겪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자격시비 등 구설수에 오를 수도 하기 때문.
지난달 입찰제안서(LOI)를 제출한 국내외 기업 가운데 외국계 1곳만 예비입찰제안서를 제출한 것도 이런 이유라는 분석이 적지 않다. 인수전에 참가했다는 이유만으로 자칫 지금껏 쌓아온 기업 이미지에 흠집이 날 수도 있다는 얘기다.
지난해 말 매각작업 개시부터 우선매수청구권 행사를 공언한 쌍용건설 우리사주조합측이 “건설사 경영 능력이 검증된 회사가 없다”라며 인수전 참가 기업에 대한 검증을 필요성을 부각 시키기도 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일각에선 쌍용건설 매각작업의 중단 가능성을 점치기도 한다. 그러나 대다수 M&A전문가들은 캠코의 재입찰의 가능성이 더 큰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외국계지만 1곳이 예비입찰에 응했기 때문에 추가로 1곳만 끌어들이면 유효한 입찰로 성립되기 때문이다.
게다가 캠코는 우리은행 매각작업 과정에서도 유찰된 이후 재입찰에 붙인 사례가 있다. 이런 연장선에서 쌍용건설 부실채권정리기금 운용시한인 11월 이전에 지분을 처분해야 하는 캠코로서는 재매각 추진이 국가 현물반환보다 노력의 흔적으로 비춰질 수 있다는 시각도 나온다.
M&A업계 관계자는 “쌍용건설은 우선매수청구권이라는 커다란 변수가 있는 특수한 매물이라 매각 작업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캠코는 앞으로 매각주간사와 협의해 다른 매각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