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고 고용감소 등으로 가계소득이 줄어들면서 자택을 보유한 가구의 가계 빚이 급증하고 있어 우려가 커지고 있다.
14일 한국은행과 통계청, 금융감독원의 ‘2011년 가계금융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자기 집을 보유한 전(全) 가구의 가처분소득은 연평균 3688만원으로 전년 3373만원보다 9.3% 증가했다.
같은 기간 부채총액은 6353만원으로 전년 5629만원보다 12.9% 늘어나 가처분소득 증가속도의 1.4배 증가했다.
가처분소득에서 부채가 차지하는 비율은 2010년 166.9%에서 2011년 172.3%로 늘어났다.
자택 보유 가구의 월지급 이자와 월상환액은 48만원에서 60만원으로 25% 급등했다.
특히, 수도권 가구의 부채가 비수도권보다 두 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수도권 가계의 가처분소득 대비 부채 비율은 110.0%였지만 수도권 가계는 250.2%로 집계됐다.
월지급 이자와 월상환액은 수도권 가계가 64만원에서 79만원으로 23.4%, 비수도권 가계가 38만원에서 47만원으로 23.7% 증가했다.
이같은 부채와 이자비용 증가는 무리한 대출로 장만한 집과 세금부담으로 ‘하우스푸어’가 대거 양산되고 있다.
실제로 현대경제연구원은 대출을 받아 주택을 마련했으나 원리금 상환 탓에 생계에 부담을 느껴 가계지출을 줄이는 ‘광의의 하우스푸어’가 2010년 기준으로 156만9000가구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했다.
올해 역시 실질임금 상승세보다 경기둔화세가 뚜렷해 하우스푸어는 계속 늘어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생계난을 견디지 못해 집을 처분하는 ‘하우스리스’(houselessㆍ무주택자)로 전락할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
현대연구원 이준협 연구위원은 “수도권에 거주하면서 아파트를 가진 30~40대의 중산층으로 구성돼 있다”며 “금리상승이나 집값하락, 소득감소는 연체율을 높여 금융안정성을 저해할 것으로 우려된다”고 말했다.
또 이 위원은 “궁극적으로 집값과 전월세 가격을 안정화시키고 거래를 활성화하는 노력을 지속함으로써 하우스푸어를 줄이는 토대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