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일 금투협 노조는 ‘낙하산 반대’를 외치며 협회 1층 로비에서 철야농성에 돌입했다. 박 회장이 이날 금융감독원 국장 출신을 신임 본부장으로 임명하면서 관치논란이 가열되는 양상이다.
상근부회장과 집행임원 역시 각각 기획재정부 차관보과 금융감독원 국장이, 후보추천위원회(이하 후추위)가 추천하는 자율규제위원장에는 감독원 부원장이 내정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인사를 둘러싼 파열음이 거세지고 있다.
금융투자협회는 161개 회원사가 공동의 이익을 도모키 위해 결성하고, 자본시장법에 따라 보호받는 민간 자율기구로 협회 임원은 정권에 따라 회원사가 자율적으로 선임할 권한을 갖는다.
이런 이유로 현재 관이 주도하고 있는 낙하산 시도가 사실이라면 “회원사를 거수기로만 여기고 권한을 부당하게 빼앗는 불법적 행위”라는 노조의 주장에도 일정 부분 수긍이 간다.
박종수 2대 한국금융투자협회 회장은 관(官)이 아닌 순수증권맨 출신이라는 점에서 그동안 투자자 보호를 이유로 뒷전으로 밀렸던 업계 이익을 대변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다.
특히 규제로 침체된 시장 정상화를 위해 투자자 보호와 금융산업의 발전 사이의 접점을 찾고 사안에 따라서는 업계 목소리를 내는 대변인 역할을 할지도 관심사다.
실제로 협회비 징수 구조 재정비, 조직문화 구축, 자본이득세·파생상품거래세 도입 등 정부규제 대응책 마련, 새로운 먹거리 발굴, 교육시스템 개편, 장외시장 활성화 방안, 선진자율 규제 체계 확립, 투자자 보호 등 박 회장이 풀어야 할 과제는 일일이 나열하기도 힘들 정도다.
금투협 노조 입장에서도 박종수 신임 회장의 무리한 발목 잡기는 중단해야 한다. 박 회장 역시 노조의 타당한 요구에는 귀 기울이면서 최대한 잡음 없이 신임 인사를 마무리해야 한다.
금투협은 161개 회원사의 순수 협회비를 통해 운영되는 조직이다. 반목과 질시가 아닌 대화와 타협을 통해 산적한 현안 해결을 위해서 지혜를 모을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