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통3사·저가 MVNO 번호이동 전면시행…통신비 인하 효과는 '글쎄'

입력 2012-02-01 11:1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대리점·요금정액제 등 없어

올 4월부터 이동통신사(MNO)와 이동통신재판매사업자(MVNO)간 번호이동이 전면 시행되지만 재판매사업자의 중고휴대전화 수급권은 제약받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벌어질 전망이다. 이동통신사들이 블랙리스트제도 도입에 앞서 재판매사업의 핵심인 중고휴대전화 판매에 직접 뛰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재판매서비스는 중고휴대전화를 이용하는 대신 상대적으로 저렴한 요금제를 이용할 수 있는 점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에 가입자 유치에 난항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MVNO사업 활성화를 가로막는 걸림돌 중 하나였던 번호이동제약은 오는 4월부터 전면 해제된다. 최근에 KT와 LG유플러스는 시스템을 개선해 망사업자와 그 망을 빌려쓰는 재판매사업자간 또는 동일한 망을 쓰는 재판매사업자간 번호이동을 올해 1월부터 시행하고 있다. 여기에 4월부터 SK텔레콤이 재판매사업자인 한국케이블텔레콤(KCT)과의 번호이동을 제공할 계획이어서 이동통신3사와 MVNO사업자간 또는 MVNO간 번호이동이 가능해 졌다.

정부는 이를 통해 이동통신 재판매사업과 통신요금 인하 경쟁이 활성화 될 것으로 보고 있지만 쉽지 않을 전망이다. 번호이동 제약은 풀렸지만 정작 MVNO 핵심인 중고휴대전화를 확보하는 길이 더 요원해 졌기 때문이다.

SK텔레콤과 KT는 3월부터 일반 대리점을 통해 중고휴대전화를 판매할 계획이다. 이동통신사들은 소비자들로부터 중고휴대전화를 매입해 전문감정사의 테스트를 거쳐 상품성을 검증하고, 재포장해 적정 가격에 재판매하기 때문에 신뢰도가 높다. 이동통신사가 중고휴대전화를 직접 판매하는 이유는 블랙리스트제도 도입에 앞서 단말기 유통권을 강화하기 위해서다. 새 휴대전화는 물론 중고휴대전화까지 판매할 경우 가입자 이탈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반대로 MVNO에게는 상당한 타격이 예상된다. CJ헬로모바일처럼 새 휴대전화를 직접 판매하는 MVNO도 있지만 대부분의 MVNO는 이동통신사로부터 중고휴대전화를 매입해 재판매 하거나 혹은 소비자가 중고휴대전화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 유심(USIM,가입자식별모듈) 개통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중고휴대전화를 구매하는 소비자들도 생소한 MVNO보다는 기존 이동통신사에 가입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일반 대리점 유통망을 갖추지 못하고 온라인가입에 의존하는 MVNO 특성상 가입자 유치에 적극성을 띄기 어렵고 스마트폰 활용에 필수적인 데이터정액제를 제공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요즘 소비자들은 스마트폰과 데이터사용에 대한 수요가 높은데 데이터요금이 비싸고 단말기 선택의 폭이 좁은 MVNO를 선택할지 의문”이라면서 “번호이동이 가능해 졌다 해도 MVNO활성화를 통해 통신비 인하 정책 효과를 보긴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