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성 22일 오전·귀경 23일(설) 오후 ‘최다 이동’

입력 2012-01-15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국토부, 20~25일 설연휴 특별교통대책기간

국토해양부는 오는 20일부터 25일까지 6일간을 설연휴 특별교통대책기간으로 정하고, 관계기관 합동으로 특별교통대책을 마련했다고 15일 밝혔다.

특히 정부의 설 연휴 교통수요예측 결과, 특별교통대책기간중 전국 예상이동인원은 총 3154만 명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설 당일인 23일 최대 647만 명이 이동할 것으로 전망됐다.

총 이동인원은 지난해 설(3088만 명) 대비 2.1% 증가하고, 1일 최대 이동인원은 작년 설(642만 명, 2월 3일)에 비해 0.8%, 평시(340만 명·일) 보다 90.2%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우선, 설 귀성시 주말이 포함되어 교통량이 분산될 것으로 예상되나, 귀경 때에는 설 당일과 다음날에 교통량이 집중돼 교통혼잡이 예상된다.

출발일·시간대별 분포도를 보면 귀성 시에는 설 하루 전인 오는 22일 오전에 출발하겠다고 응답한 비율이 31.5%로 가장 많았다.

귀경 시에는 설 당일 오후에 출발하겠다는 응답이 34.0%로 최다 였다. 다음날인 24일 오후 출발도 28.4%로 나타나, 귀경수요는 연휴 마지막 날까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승용차로 고속도로를 이용할 경우 주요 도시간 최대소요 시간은 귀성은 서울~대전 3시간 40분, 서울~부산 7시간 10분, 서울~광주 5시간 40분, 서서울~목포 6시간 40분, 서울~강릉 4시간 10분 등이다.

귀경은 대전~서울 4시간 20분, 부산~서울 9시간 10분, 광주~서울 6시간 30분, 목포~서서울 8시간 50분, 강릉~서울 3시간 40분 정도 소요될 것으로 전망됐다.

이번 설에는 귀성기간은 길고 귀경기간이 짧아 지난해 설보다 귀성은 1~2시간 감소하고, 귀경은 30분~1시간 증가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이날 특별교통대책도 내놨다. 이를 위해 국토해양부는 설 특별교통 대책기간 중 안전에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 철도, 버스, 항공기, 연안여객선의 수송능력을 최대한 증편·운영할 계획이다.

또 교통량 분산을 위해 첨단 IT기술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한편, 고속도로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진출입 교통량을 조절할 계획이다.

먼저, 첨단 IT기술을 활용해 수집한 교통정보를 공중파방송, 인터넷,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앱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실시간 교통혼잡 상황, 주요 우회도로, 최적 출발시기 정보 등을 제공한다.

실제로 국토해양부 홈페이지(www.mltm.go.kr), 모바일 홈페이지(m.mltm.go.kr)를 통해 철도·버스 및 항공기 이용정보와 실시간 도로 지·정체정보 등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트위터(www.twitter.com/happytraffic 또는 www.twitter.com/15882504)를 활용해 1시간 간격으로 교통소통정보를 제공한다.

아울러 그간 고속도로와 수도권 국도에 대해서만 제공되던 교통상황 CCTV 영상을 이번 설부터는 전국 국도로 확대하는 한편, 고속도로 또는 국도별도 제공하던 교통정보를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통합하여 스마트폰 앱(App)을 통해 제공할 예정이다.

한국도로공사에서는 교통전문가로 구성된 교통예보팀을 운영해 고속도로 주요구간의 소요시간 예측 등 교통예보를 제공하고, 국도·지방도 우회안내를 위해 우회도로 안내입간판 설치(233개)와 교통안내지도(19만부)를 주요 톨게이트에서 배포한다.

또, 고속도로 운행속도에 따라 고속도로 영업소 진입부스를 탄력적으로 조정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경부고속도로 한남대교 남단~신탄진IC(141km) 구간 상·하행선에서 버스전용차로제를 평시보다 4시간 연장해 실시할 예정이다.

고속도로 영동선 신갈~호법(33.6km), 서해안선 비봉~매송(4.0km) 및 남해선 사천~산인(48.2km) 등 3개 구간(85.8km) 준공(확장) 개통하고, 국도 37호선 청평~현리 등 15개 구간(119km) 준공개통과 32호선 퇴계원~진접 등 총 23개 구간(115km)을 임시개통한다.

이와 함께 고속도로 상습 지?정체구간 해소를 위해 51개 교통혼잡 구간 운행 차량을 우회도로로 유도하고 갓길차로 임시운행 허용 구간을 확대할 예정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교량, 철도, 공항 등 주요 교통시설에 대한 안전점검과 자동차 전좌석 안전띠 매기 캠페인 등을 실시할 것”이라며 “고속도로 교통사고시 신속한 인명구조와 사고처리를 위해 119구급대 연락체계 구축(203개소)과 구난 견인차량업체(330개)와 비상연락체계를 구축하고 구난견인차량 1,676대를 배치·운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