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징아프리카] 1-② 남아공의 떠오르는 ‘뉴 리치’에 주목하라

입력 2012-01-06 10: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부유층의 40%가 흑인 신흥부호…남아공 내수 성장 이끌어

▲흑인 신흥부호들이 떠오르면서 남아공의 경제발전을 뒷받침하고 있다. 남아공 샌튼시에 있는 남성 명품업체 알프레드 던힐의 한 매장에서 점원이 고객에게 옷을 권하고 있다. 블룸버그

글로벌 기업들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떠오르는 ‘뉴 리치’에 주목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뉴 리치는 지난 1994년 악명 높은 ‘아파르트헤이트(인종차별)’ 정책이 끝난 후 남아공의 부유층으로 도약한 흑인 엘리트들을 가리킨다.

남아공 케이프타운대에 따르면 남아공의 소득 상위 10%에 속하는 부유층의 40%는 흑인이다.

케이프타운대 유니레버 마케팅연구소의 존 심슨 교수는 “아직 남아공의 빈부격차는 크지만 1세대 흑인 부자들의 출현은 전체 사회구조의 중요한 변화를 시사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남아공의 부자들은 크게 세 부류로 나뉜다.

순자산이 65만달러(약 7억5000만원)가 넘는 ‘최고 부자’ 그룹에서 흑인의 비율은 27%, 자산이 13만~65만달러인 ‘중간 부자’에서는 33%를 기록했다.

순자산이 1만3000~13만달러 수준인 ‘부자 진입’그룹에서 흑인의 비율은 49%에 달해 흑인 신흥부호의 빠른 성장을 시사했다.

뉴 리치의 부상에 지난 2007년부터 4년간 고액 납세자 수도 25% 증가했다.

흑인 신흥부호들은 25~49세가 70%에 이를 정도로 젊은 것이 특징이다.

케이프타운대에 따르면 이들 뉴 리치는 명품 브랜드를 선호하며 개인적 성향의 백인 부자와 달리 가족·친지나 친구들을 재정적으로 지원하는 경우가 많다.

자동차 등 내수산업은 흑인 신흥부호의 부상에 견실한 성장을 보이고 있다.

마케팅 전문가인 마틴 니들링은 “다른 신흥국 부호와 마찬가지로 남아공의 뉴 리치도 자신들이 구매하는 브랜드를 통해 사회적 지위를 과시한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11월까지 현지 자동차 누적 판매는 전년 동기 대비 16% 늘어난 52만6223대에 달했다.

경영컨설팅업체 딜로이트는 최근 보고서에서 “남아공의 1인당 국민소득은 8000달러 수준으로 터키와 비슷하며 구매력을 갖고 있는 흑인 중산층이 빠르게 늘고 있어 글로벌 소매업체들의 주요 공략대상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