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코스닥 자금난 방치해서는 안된다

입력 2011-12-29 10:07수정 2011-12-29 10:0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코스닥 기업들이 심각한 돈가뭄에 허덕이고 있다. 어제오늘 일로 넘길 일이 아니라 최근의 상황은 심각한 지경이다. 미국·유럽 등 선진국 재정위기가 실물경제 침체로 이어지면서 자금난을 가중시키고 있는 것. 문제는 이들 기업들의 자금 수혈 통로가 막힐 경우 시장 자체가 붕괴될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는 점이다.

12월 들어 코스닥 상장사들의 유상증자 결정 공시 건수는 총 45건으로 11월 21건에 비해 2배 이상 급증했다. 내년 초 결산보고서 제출을 앞두고 재무건전성 개선을 위해 주식시장에서 자금 조달에 나서는 기업이 는 데 따른 것이다.

유상증자 자체가 어려운 기업들은 건물·토지 등 유형자산 처분에 나서는 것은 물론 일부기업의 경우 최대주주 보유 주식을 담보로 명동 사채시장에서 자금을 구하고 있지만 이마저 쉽지 않은 상황으로 알려져 있다. 자금 수혈의 중요한 통로로 작용했던 저축은행 대출이 최근에는 꽉 막힌 상황에서 명동시장마저 막힌다면 상장사들이 선택할 수 있는 합법적인 선택의 방법은 없다.

유상증자를 통해 직접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도 있지만 최근 금융당국의 감독 강화로 증권신고서 정정 요구 사례가 급증하는 등 결코 녹록하지 않다. 특히 주가부담 뿐 아니라 최대주주의 지분율 저하, 기업회계 공개 등 내부 문제가 복잡하다.

코스닥 시장은 1996년 시장 개설 이후 시가총액 11배, 상장기업수는 3배 이상 증가하는 등 경제에 활력을 주는 역할을 꾸준히 수행해 왔다. 코스닥시장 상장을 통한 자금조달이 없었더라면 NHN, 다음 등이 현재의 일류 IT기업으로 성장할 수는 없었다.

상장 유지에만 급급한 일부 한계기업들과 부도덕한 상장사들은 과감하고 빠르게 정리해야 한다. 하지만 지금도 제2의 NHN, 다음을 꿈꾸며 연구개발에 매진하는 젊은 인재들을 위해서라도 코스닥 자금난 문제를 방치해서는 안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