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지엔 왜 팥죽을 먹을까?

입력 2011-12-22 07:3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동지섣달 팥죽의 계절이 돌아왔다. 22일 동지를 맞아 맛있는 팥죽을 마련해 가족과 나누고자 주부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죽)
'동지'인 22일 팥죽을 만들어 먹는 풍습이 어김없이 집집마다 이뤄지고 있다.

동지는 24절기중 하나로 1년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이다. 동지를 맞아 동지고사, 동지책력 나누기 등 곳곳에선 각종 세시풍속 체험 행사도 열리고 있다.

특히 빠지지 않는 것이 동지 팥죽 나누기. 왜 동지에는 팥죽을 먹는 것일까?

동지팥죽의 유래는 중국 요순시대 형벌을 담당했다고 하는 신화적인 인물인 공공씨에서 유래된 음식이다.

'형초세시기'에 따르면 공공씨의 망나니 같은 아들이 동짓날 죽어서 역질 귀신이 됐다. 이 역귀가 생전에 팥을 싫어했기 때문에 동짓날이 되면 팥으로 죽을 쑤어 역귀를 쫓았는데 이것이 풍속으로 전래된 것이다.

또한 팥죽에 새알심을 넣는데 대한 유래는 우리의 건국신화에 나타나는 난생(알에서 태어남)설화를 통해 알 수 있다고 전해진다. 고구려를 건국한 주몽신화, 신라를 세운 박혁거세신화, 가야를 세운 김수로왕 신화 등이 모두 알과 관련이 있다.

이처럼 알은 탄생, 생명을 의미하는 뜻에서 동짓날 나이 숫자대로 새알심을 먹어야 비로소 한 살을 먹게 된다는 유래가 생긴 것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