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EU 정상회의 개최…재정통합·ECB 역할 확대 등에 촉각
![](https://img.etoday.co.kr/pto_db/2011/12/600/20111204110936_165299_500_226.jpg)
뉴욕증시는 이번주(5~9일)에 유럽 지도자들이 역내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해법을 도출할 지에 향방이 달릴 전망이다.
지난주 증시는 글로벌 중앙은행들이 위기 확산과 경기침체를 막기 위해 행동에 나서면서 모처럼 강한 상승세를 나타냈다.
다우지수는 주간 기준으로 7.0% 올라 지난 2009년 7월 이후 가장 큰 상승폭을 나타냈고 S&P500 지수는 7.4% 상승으로 2009년 3월 이후 최대폭 상승을 기록했다.
나스닥 지수는 7.6% 올라 올해 2번째 주간 랠리 기록을 세웠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 등 세계 주요 6대 중앙은행이 달러 스왑 금리를 종전의 절반 수준인 50bp(bp=0.01%)로 낮추는 등 달러 유동성 공급을 위한 공조 결정을 내렸다.
중국 인민은행은 2008년 이후 처음으로 은행 지급준비율을 인하해 긴축 종료 신호탄을 쐈다.
미국의 지난달 실업률이 8.6%로 32개월래 최저치를 기록하고 소비가 호조를 보이는 등 미국 경제는 살아날 기미를 보이고 있어 투자자들의 관심은 유럽으로 더욱 쏠리고 있다.
오는 9일 열리는 유럽연합(EU) 정상회의에서는 재정통합과 유럽중앙은행(ECB) 역할 확대 등이 논의될 것으로 예상된다.
앙겔라 메르켈 총리는 지난 2일 베를린 의회 연설에서 “재정통합만이 유로존(유로화 사용국) 채무위기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며 “유로존은 서로를 통제하는 재정적 감독이 필요하며 재정적자와 부채 관련 규칙을 어기는 국가는 제재를 가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메르켈 총리는 5일에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과 정상 회동을 갖고 EU 정상회의에 제출할 재정통합 공동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ECB의 역할 확대에 대해서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ECB가 위기를 겪고 있는 국가의 국채를 무제한 매입하거나 미국 연준처럼 양적완화를 도입하는 방법, 국제통화기금(IMF) 등에 대출을 제공해 우회적으로 위기를 돕는 방법 등으로 위기 확산을 억제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독일이 ECB는 ‘최후의 대출자’로 남아야 한다면서 ECB 역할 확대에 반대해 왔지만 재정통합안이 받아들여지면 입장을 바꿀 수도 있다.
미국에서는 5일 공장주문, 8일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등의 경제지표가 발표된다.
이번주 발표하는 지표가 최근 호조를 보이고 있는 경제지표 흐름을 이어갈 지 주목된다.
미국 공급관리자협회(ISM)의 지난달 제조업 지수는 52.7로, 지난 6월 이후 5개월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