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지수 추가품목 상승률 1%대

입력 2011-12-04 11:2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43개 품목 평균 1.5%… 전체 3분의 1수준

최근 소비자물가지수 개편 때 추가된 품목들의 지난달 물가상승률은 1%대였다. 이는 전체 물가 상승률의 3분의 1 수준으로 밝혀졌다.

4일 통계청의 지난 1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자료를 분석한 결과 기준연도 개편으로 소비자물가지수 조사대상에 추가된 43개 품목의 평균 상승률은 1.5%로 나타났다.

평균 상승률은 43개 품목의 개별 상승률에 해당 품목의 가중치를 곱한 값을 모두 더한 뒤 이를 가중치의 합으로 나눠서 산출했다.

11월 물가 상승률이 새 지수로 4.2%인 점을 감안하면 이들 품목이 전체 물가 수준을 낮추는 데 적잖은 기여를 한 것으로 보인다.

43개 품목 중 가격이 내린 품목은 9개에 불과했지만 가격 인하폭이나 가중치가 큰 품목이 대다수여서 이들이 전체 평균을 끌어내린 것으로 분석됐다.

대표적인 품목으로 스마트폰 이용료가 꼽혔다. 스마트폰 이용료는 11월에 작년 동월 대비 1.9% 내렸다. 하락폭이 크지 않지만 가중치가 16.4로 추가된 품목 가운데 가장 컸다. 평균 상승률이 1%대가 나오는 데 가장 큰 역할을 한 셈이다.

유모차는 가중치가 0.8에 불과했지만 낙폭이 17.2%로 추가된 품목 가운데 가장 컸다. 세번째로 큰 영향을 미친 품목은 수입승용차다. 지난해 같은 달보다 5.6%나 떨어졌다. 수입자동차는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비중이 커짐에 따라 별도 조사대상 품목이 됐다. 지난 7월 한ㆍ유럽연합(EU) 자유무역협정(FTA)의 발효를 앞두고 수입차 가격이 100만원 내외로 내렸다.

반면 금반지가 빠지는 대신 추가된 장신구가 12.9% 올랐고 밑반찬(15.6%)과 전복(13.8%), 캠핑용품(12.5%), 혼식곡(11.7%) 등도 두 자릿수 상승률을 나타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