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취직대신 창업하라고?

입력 2011-11-18 11:3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솔직히 말해볼까요? 좋은 창업 아이템이 있다면 공모전 수상 등을 한 다음 대기업에 원서 넣을 때 제출할 생각입니다. 어찌어찌 창업을 해도 그 이력을 가지고 대기업 공채로 달려갈 걸요”

A대학교 창업 동아리에서 활동하는 대학생 윤모 씨(23)는 이렇게 고백했다. 교육과학기술부가 내년 대학교육의 핵심 키워드로 ‘대학생 창업’을 들고 나온 데 대한 대답이다. 대학생들의 반응은 차가웠다.

이주호 교과부 장관은 최근 언론매체와의 인터뷰에서 “만성화된 청년실업에 대응하려면 취업에서 창업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창업’ 화두의 발단이 ‘청년실업’에 있다는 이야기다. 하지만 이 같은 접근은 순환 논리와 마주하게 된다. 대학생들이 창업보다 취업에 관심을 갖는 근본적 원인은 모르거나 관심이 없어서가 아니기 때문이다.

과거 벤처열풍 등을 생각해보면 대학생들이 처음부터 창업에 관심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대학 졸업 후 너도나도 벤처에 뛰어들던 그 때는 테헤란로 주소가 찍힌 명함이 ‘성공한 선배’의 상징이었다. 안철수, 김범수 등의 성공신화도 그 흐름의 밑거름이 됐다.

반면 지금은 상황이 녹록치 않다. 벤처열풍 당시 생긴 회사는 대부분 사라졌다. 대기업이 진출한 다양한 분야가 규모의 경제성을 갖게 되면서 중소기업 하기는 더 힘들어졌다. 일단 자본싸움이 되면 경쟁이라는 말은 무색하다. 일부 성공사례를 언급해 본들 창업이 다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대학교육의 새 대안이 될 수 있는지는 의문이다.

대기업에 들어가는 것과 대기업과 경쟁하는 것 중 어느 쪽이 더 어려울까? 창업을 통해 성공할 수 있는 사회적 토양이 부족한 상황에 창업부터 강조하는 것은 공허한 메아리에 그칠 공산이 크다. 교과부는 대학생들에게 ‘희망 고문’을 하지 않도록 관련 정책을 신중히 추진할 필요가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