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경기 따른 고용한파 현실로 닥치나

입력 2011-11-16 10:01수정 2011-11-16 16:0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항공·건설 등 일부업종 인원 감축…삼성硏 “내년 신규 일자리 절반 감소”

산업계 전반에 걸친 감원태풍은 대내외 경영환경의 불투명성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힌다. 특히 민간부문의 제조업과 서비스업종을 중심으로 한 고용창출 계획도 비관적이어서 국내 기업들의 성장세가 주춤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조선과 철강 등 일부 업종은 감원태풍의 영향권에서 벗어난 것으로 평가됐지만 항공, 전자 등의 업종은 인원감축이 이뤄졌다.

LG전자, 대한항공 등 국내를 대표하는 기업들이 감원에 나서고 있어 향후 경기상황에 따라 국내 산업계 전반으로 확대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더욱이 내년 신규 일자리 창출도 올해보다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일자리 문제가 국가차원의 문제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 비용 감소·조직 슬림화 도모= 대한항공은 최근 5년 만에 희망퇴직제도를 시행, 100여명에 대한 퇴직을 결정했다. 환율과 유가의 불안으로 인한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인건비 감소차원에서 단행됐다.

LG전자는 휴대폰 사업을 중심으로 인력 구조조정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 9월 브라질 휴대폰 공장의 인력 200명을 감원했고, 해외법의 R&D(연구?개발) 조직 축소를 검토하는 등 비교적 강도 높은 인력감축에 나서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인력에 대한 감원여부도 관심이 모아진다.

삼성전자도 지속적으로 실적이 부진한 LCD사업부에 대한 조직개편을 통해 임원을 중심으로 한 감원을 단행했다.

기존 LCD사업부에 소속됐던 10여명의 임원이 안식년 또는 비상근으로 전환됐고, 나머지 임원들도 연말 임원인사를 통해 최종 거취를 결정하게 된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회사 전체적으로는 실적이 양호한 편이지만 사업부문별로 실적이 저조한 곳은 조직개편을 통한 감원 여부에 긴장감이 나타나고 있다”고 전했다.

국내 금융권도 예외는 아니다. 하나은행은 지난 9월 378명에 대한 희망퇴직은 단행했으며, 외환은행과의 합병이 마무리된 후의 감원가능성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외에도 불황이 장기화되고 있는 중견 건설업계와 저축은행권도 감원 태풍의 영향권에 들어있다.

손민중 삼성경제연구소 연구원은 “경기상황이 더욱 악화되면 신규 일자리 감소는 물론, 현재 감원바람도 확산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 조선·철강업계는 태풍 영향권 벗어나 = 전세계 산업계가 감원태풍에 휩싸인 가운데 국내 조선과 철강업계는 태풍의 영향권에서 벗어난 것으로 보인다.

이들 업종은 그동안 신규설비 투자가 이뤄져 이에 대한 추가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 ‘빅 3’는 올해 설비부문에서 높은 수주를 기록하고 수주잔고도 넉넉한 편으로 감원이 필요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올해 투자규모를 당초 7조3000억원에서 6조원으로 축소한 포스코도 인력 구조조정의 계획은 없다고 못박았다.

포스코 관계자는 “재무운용 건전성 확보를 위해 투자집행을 늦추고 원가절감 목표를 상향시키는 것”이라며 “인력을 줄여서 비용절감을 하려는 계획은 없다”고 강조했다.

◇ 재계, 정부의 고용창출 압박 우려 = 재계는 최근 감원 확대와 신규일자리 창출 감소 전망 등 인력운용과 관련, 정부의 고용창출 압박이 나타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내년에는 대선을 앞두고 있어 마지막 선심성 정책이 남발할 우려가 가장 크기 때문이다. 대기업 고위 관계자는 “기업은 대내외 경영상황에 맞게 탄력적으로 인력을 운용할 수밖에 없다”며 “하지만 실업사태가 사회문제로 비화되면 정부는 대기업에게 고용확대를 주문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더욱이 내년은 대통령 선거와 국회의원 선거가 열리는 해임을 감안하면 이같은 가능성을 전면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 재계의 중론이다.

정부는 지난 9월 ‘2011~2015년 중기 재정운용계획’을 발표하면서 내년 예산안의 역점과제를 일자리 늘리기로 못박았다. 하지만 민간부문의 고용창출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정부의 일자리 늘리기는 한계에 이를 수밖에 없다.

전경련 관계자는 “민간기업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정부가 보다 적극적으로 규제완화 등 투자확대를 위한 기반을 마련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