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가구 평균 부동산 자산 3835만원…36.1% ‘껑충’

가구주의 연령이 20대인 젊은 가구가 부동산자산을 지난해보다 대폭 늘렸다.

15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3월말 기준 30세 미만 가구(평균 연령 26.4세)는 전체 자산 가운데 46.1%를 부동산으로 보유해 지난해보다 부동산자산 비중을 8.9%포인트나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또 30세 미만 가구의 평균 부동산자산은 작년 2818만원에서 올해 3835만원으로 36.1% 늘었고 부동산자산 보유 비율도 19.1%에서 21.1%로 늘었다.

30세 미만 가구중 부동산자산을 보유한 가구의 평균 부동산자산은 1억8135만원으로, 작년의 1억4762만원보다 22.8% 늘었다.

또 30세 미만 가구의 거주주택용 부동산자산 보유비율은 15.8%로 작년과 같았지만 액수는 1억4285만원으로 4.2% 늘었다. 이는 20대 가구 가운데 16%에 가까운 가구가 1억4000만원이 넘는 주택을 거주용으로 보유하고 있다는 뜻이다.

반면 다른 연령대는 모두 부동산자산의 비중을 줄였고 부동산자산 규모 자체의 증가율도 훨씬 낮았다.

30대 가구의 부동산자산 비중은 60.2%로 지난해보다 3.1%포인트 줄었으며, 40대 가구는 67.9%로 3.2%포인트 감소했다. 50대는 부동산 자산 비중이 2.6%포인트 감소한 76.2%였으며 60세 이상은 2.4%포인트 준 82%였다.

올해 30대 가구의 평균 부동산자산은 1억2480만원, 40대 2억968만원, 50대 미만 3억156만원, 60세 이상 2억5671만원으로 각각 작년보다 0.1%, 1.8%, 5.2%, 1.9% 늘었다. 30세 미만 가구의 증가율인 36.1%에 훨씬 못 미치는 증가폭이다.

특히 30세 미만 가구는 거주주택 외 부동산 자산 비중을 작년보다 두자릿수 비율로 늘렸다.

올해 30세 미만 가구의 거주주택 외 부동산자산은 전체 자산의 18.8%로 비중이 작년보다 10.3%포인트 늘었다. 액수 기준으로는 작년 가구당 평균 639만원에서 올해 1561만원으로 144.3%나 증가했으며, 전체 가구 중 거주주택 외 부동산자산을 보유한 가구의 비율은 작년 4.2%에서 올해 6.8%로 늘었다.

반면 거주주택 외 부동산자산 비중은 30대 22.5%(0.1%포인트), 40대 29.4%(-1.0%포인트), 50대 36.9%(0.5%포인트), 60세 이상 38.5%(-1.5%포인트)로 모두 지난해와 비교해 거의 변동이 없거나 오히려 소폭 감소했다.

통계청 측은 이런 현상에 대해 “30세 미만 가구의 비중이 전체의 5.3%에 불과하고 보유자산 액수도 크지 않기 때문에 자산의 포트폴리오를 조금만 바꿔도 큰 폭으로 바뀌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