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푸스, 투자손실 메우려다…거액 자문수수료 의혹 풀려

입력 2011-11-08 11:3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우드포드 사장 복귀 여부 초점

거액의 기업 인수·합병(M&A) 자문수수료 지급으로 의혹을 받아온 일본 올림푸스가 투자 손실을 메우기 위해 자금을 유용한 사실이 들통났다.

올림푸스는 8일(현지시간) 도쿄증권거래소 공시를 통해 “영국 의료기기업체 자이러스 인수 시 자문수수료를 포함해 일본 국내 3사 인수 자금을 과거 주식 투자 등의 손실을 메우는 데 이용했다”고 발표했다.

이 발표가 있은 직후 올림푸스의 주가는 한때 일일 가격변동제한폭인 29%까지 폭락해 1974년 이후 37년만에 최대 일일 손실을 기록했다. 이후 낙폭을 줄여 27.95% 폭락세에 오전 거래를 마감했다.

올림푸스에 따르면 회사는 1990년대부터 증권 투자 등의 손실 계상을 미루고, 이를 메우기 위해 여러개의 펀드 등을 사용해 인수 자금 등을 충당했다.

올림푸스는 자이러스 인수 시 6억8700만달러를 자문수수료로 지급하고, 일본 국내 3사 인수에는 734억엔을 투자했다. 현재의 환율로 환산하면 1300억엔에 가까운 금액이다.

이 같은 사실은 지난 1일 설치한 제3자 위원회의 조사 과정에서 드러났다.

논란이 됐던 자이러스 인수 당시 자문사에 지급한 금액은 대부분이 자이러스 우선주 매입분으로, 올림푸스는 당초 1억7700만달러였던 우선주를 지난해 3월에 6억2000만달러에 자문사로부터 되샀다.

자이러스의 재상장 포기로 옵션 행사에 걸맞는 이익을 기대하기 어려워진 자문사 측이 매입을 희망한 데 따른 것이라는 설명이다.

올림푸스는 마이클 우드포드 전 사장이 자이러스 인수 시 자문수수료가 과다하다는 점을 문제삼자 지난달 14일 그를 전격 경질했다.

올림푸스는 과거 인수 절차는 적합했다고 주장했지만 일부 주주가 조사를 요구하고 나서면서 사태는 한층 미궁속으로 빠져들었다.

조사를 요청한 주주 가운데 하나인 해리스 어소시에이츠의 데이비드 해로 최고투자책임자는 “올림푸스의 경영 회복을 위해 우드포드 씨가 사장에 복귀해야 한다”는 견해를 나타냈다.

향후 시장의 관심은 우드포드 사장의 거취 여부에 쏠릴 것으로 보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