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물류기업 서비스 수준 대기업의 63%…대책마련 시급

입력 2011-10-25 06: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중소물류기업들의 경쟁력 강화 방안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물류전문가 140여명을 대상으로 한 ‘중소·중견물류기업 경쟁력 강화방안 의견 조사’에서 국내 물류대기업의 서비스 역량을 100으로 봤을 때 중소·중견 물류기업의 서비스 수준이 약 63%인 것으로 조사됐다고 24일 밝혔다.

기업들은 대기업에 비해 경쟁력이 뒤쳐지는 부분으로 SCM 관리능력(66.3%)을 꼽았다. 이어 컨설팅 역량(47.5%), 서비스 신뢰성 및 안정성(30.7%), 물류가시성(27.7%)등이 뒤를 이었다.

문제는 중소·중견 물류기업은 전체 물류산업의 99.9%를 차지하고 있는데다 고용의 82.2%를 담당하는 등 물류업계의 중추적인 허리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물류기업의 영세성이 산업 내 양극화 심화로 이어지는 등 여러 문제가 빚어지고 있어 시장의 근본적인 체질개선을 위해서는 중소물류기업 경쟁력 강화방안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경쟁력이 떨어지는 이유에 대해서는 물류시설 등 인프라 미비(56.4%)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계열사 물량확보와 같은 수주여건 취약(55.4%), 자금력 부족(40.6%)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전문가들은 중소·중견 물류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서비스 특화·전문화(63.7%), 화주물류 상생·물류기업 간 협업(물류공동화 등)(39.2%), 인재양성(39.2%), 정보화·표준화(32.4%) 등이 필요할 것으로 봤다.

또 향후에 중소·중견 물류기업이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서비스 분야로 국제물류(포워딩)(37.6%)를 가장 많이 꼽았으며, 이어 창고·보관(29.7%), 컨설팅(14.9%), 육상운송(9.9%), 택배(5.0%)가 뒤를 이었다.

김무영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장은 “정부의 물류정책이 대형기업 육성과 글로벌시장 진출 지원에 집중돼 시장의 절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중소·중견 물류기업이 소외돼 온 측면이 있다”며 “정책대상을 기업규모별로 세분화하고, 포워딩, 창고, 화물운송, 컨설팅 등 각 서비스 영역의 특성별로 실효성 있는 정책을 개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상의는 전문가 의견조사와 보고서를 토대로 다음 달 중소·중견 물류기업 경쟁력 강화방안 정책과제를 정부에 제출할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