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중수 “물가목표제, 정부랑 협의할 생각 없다”

입력 2011-10-23 12:2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 22일 물가안정 목표제의 일부 수정 가능성과 관련 “내년 정부와 협의에 들어갈 생각이 없다”고 밝혔다.

사실상 현행 물가안정 목표제를 유지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한은의 인플레이션 타겟팅(IT) 제도는 3년이란 목표기간 동안 소비자물가(CPI)를 3±1% 수준에서 달성해야 한다.

김 총재는 이날 인천 한은 연수원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학문적으로 근원인플레이션을 말할 수는 있지만 물가 지표를 근원인플레이션으로 바꾼다든지, 정부와 협의를 한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인플레이션 자체가 만성적으로 올라가지 않기 위해서는 CPI와 근원인플레이션을 다 봐야 해서 정책 목표변수로 삼자는 것”이라며 “물가 목표제를 바꾼다는 것으로 유추할 필요는 없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금리인하 가능성을 제기하는 것과 달리 금리정상화 기조는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김 총재는 “위기 극복과정에서 가장 어려운 것은 금리를 올리는 것”이라며 “금리를 인하해서 경제 위기가 온 적은 없지만 올릴 때 위기가 재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명료하게 미국 경제 성장이 2% 되면 올린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IT를 우리 목표로 갖고 있는 상황에서 그렇게 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경기 판단과 관련해서는 금융과 실물 부분의 연계를 강조했다.

김 총재는 “과거에는 실물부문이 있고 금융은 이를 원활하게 돌아가도록 해주는 것인데 지금은 새로운 파이낸셜 엔지니어링이 나오면서 금융이 미치는 효과가 더 커졌다”고 분석했다.

그는 “대외적 여건에 따라 이 두 가지 부문이 어떤 관계를 가지고 변하는지를 주의 깊게 봐야 한다”고 말했다.

김 총재는 한은법 개정으로 추진 중인 조직개편과 관련해서는 인력을 추가적으로 늘릴 계획은 없다고 설명했다.

김 총재는 “사회도 일을 하기 전부터 조직을 늘리는 것을 수용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물가를 담당한다고 물가 안정국이 없는 것처럼 금융안정 기능이 추가되도 하나의 특정 부서가 맡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채의 지준 부과와 관련해서는 “잘못하면 금융 산업 경쟁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평상시에는 면세를 하더라고 위기가 오면 적당한 요율을 부과하는 것을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