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물길 뚫렸다]낙동강…12경 자전거로 체험을

입력 2011-10-13 07:4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을숙도…갈대숲…억새 군락지

‘가락의 동쪽’에서 유래한 낙동강이 4대강 사업 덕분에 12경을 뽐내게 됐다. 낙동강에는 8개의 보가 들어선다. 상주보와 낙단보, 구미보, 칠곡보, 강정고령보, 달성보, 창녕합천보, 함안창녕보 등이 바로 그 것.

상주보는 상주시 오복동의 전설을 반영해 개발했다. 낙단보는 낙동강 3대 정자 중 하나인 관수루의 처마를 모방해서 만들었다. 구미보는 거북이와 용을 형상화한 디자인으로 설계했다. 칠곡보는 신라 때 도참사상에 따라 땅의 기운을 다스리기 위해 가산바위에 묻혔다는 철우 이야기를 테마로 설계됐다.

강정고령보는 고대 후기 가야시대의 중심인 지역특성을 살려 디자인했으며 달성보는 항해를 상징하는 크루즈선을 형상화했다. 창녕합천보는 1억4000만년 전에 형성된 우포늡을 상징하는 따오기를 형상화했으며 함안창녕보는 낙동강을 품은 큰 고니날개를 모티브로 디자인했다.

국토해양부 부산지방국토관리청은 4대강 사업을 바탕으로 ‘낙동강 스토리텔링’을 마련했다. 낙동강 살리기로 옛 모습을 되찾은 결과, 이제는 살아난 낙동강의 지속 발전을 위해 문화콘텐츠를 개발했다.

즉 낙동강에 들어선 8개의 보를 중심으로 낙동강은 12경을 개발했다. 12경을 따라 가다보면 발원지에서 하구언까지 낙동강 1300리 길에 걸쳐 있는 다양한 문화와 자연환경을 경험해 볼 수 있다. 낙동강 12경은 8개의 보와 함께 새로운 문화로 탄생했다.

1경은 ‘을숙도’다. 국내 최대의 철새도래지인 을숙도를 생태적으로 보완해 ‘철새의 낙원’을 보여준다. 2경은 경남 양산시를 중심으로 물금신도시와 오봉산 인근이다. 오봉산 ‘임경대’의 조망을 고려해 갈대초지군락을 테마화한 ‘갈대의 노래’가 울려퍼진다.

3경은 경남 밀양시 ‘삼랑진읍’을 중심으로 억새군락의 ‘은빛 물결’이다. 우리나라 딸기의 최초 재배지인 삼랑진은 이를 기념해 매년 4월초 딸기 축제를 열고 있다. 4경은 경남 창년군을 중심으로 한 ‘화왕산 갈대축제’다. 화왕산성 동문에서 남문터로 가다보면 창녕 조씨의 시조가 태어났다는 삼지(三池)가 있다.

5경은 경상남도 합천군 지역의 ‘창념합천보’다. 이곳을 중심으로 습지생태와 연계한 야생화 군락지를 관람할 수 있다. 6경은 대구시 달성군을 중심으로 한 ‘강정고령보’가 있는 옛 나루터다. 달성습지 등의 역사, 문화, 생태가 어우러지는 초지군락지가 특색있는 수변테마 공간으로 거듭난다.

7경은 경북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 ‘칠곡보’를 중심으로 펼쳐진다. 한국전쟁의 격전지로 다부동 전적기념관을 비롯해 12개의 전적 기념지가 있다. 8경은 경북 구미시 해평면 월곡리 ‘구미보’에 다시 찾아오기 시작한 흑두루미 서식지를 제공한다.

9경은 경상북도 의성군 단밀면에 있는 ‘낙단보’를 중심으로 낙동강 마지막 나루터가 복원된다. 10경은 경북 상주시와 상주보를 중심으로 지역축제인 자전거축제와 낙동강변의 억새숲을 볼만하다.

11경은 경북 예천군 풍양면 삼강 ‘예천’ 중심으로 세 갈래 물줄기로 모두를 끌어안은 곳이다, 12경은 경북 ‘안동’을 중심으로 안동 하회마을의 역사적 가치와 자연적 절경을 감상할 수 있는 ‘부용대의 절개와 5000년 문화의 만남’을 이야기한다.

한편 아직 세부적인 테마 코스가 정비되지 않았지만 낙동강 자전거길은 743㎞에 달해 4대강 자전거길 중 가장 길다. 안동댐에서 낙동강 8개보를 지나 부산까지 달릴 수 있게 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