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사 8곳 중 1곳 보유현금 10억 미만

입력 2011-10-03 11:3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경기침체가 장기화 되면서 기업들의 자금 사정이 급속히 나빠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경기가 완만하게나마 나아질 것이라는 기대로 투자를 늘렸으나 경기가 호전되지 않아 예상 수익을 내지 못한 것이 자금 악화의 주원인이다.

문제는 경기 불황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중견ㆍ중소기업의 자금 사정이 더욱 나쁘다는 점이다. 이들 기업은 자금난을 해결하고자 차입, 채권발행, 증자 등에 나서고 있으나 성과는 매우 저조하다.

3일 한국상장회사협의회와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FnGuide)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12월 결산법인 632곳의 현금 및 현금성자산 총액은 지난 6월 말 현재 48조1330억원이다. 작년 말 52조940억원보다 7.6% 감소했다.

현금성자산은 만기 3개월 이내에 현금으로 자동 전환되는 예금이나 적금 등이다. 현금성자산 감소는 유동성 사정이 악화했음을 의미한다.

회사당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762억원으로 6개월 전 824억원보다 줄었다.

현금 사정이 나빠진 것은 투자나 채무상환 등을 위해 지출된 현금에 비해 영업활동으로 벌어들인 현금이 적기 때문이다.

올해 상반기 영업활동으로 유입된 현금은 32조9950억원이다. 투자활동으로 나간 현금 43조8300억원이었다. 차입금이나 채권 발행, 증자 등을 통한 현금 유출입을 표시하는 재무활동 현금 흐름은 7조510억원 순유입을 나타냈으나 충분하지 않다.

현금성자산이 줄어든 기업에는 시가총액 기준으로 중소형주에 속하는 중견ㆍ중소기업들이 많다.

현금성자산 감소율이 70%를 넘는 기업 59곳 가운데 대형주에 해당하는 기업은 NHN(-73.98%)과 현대백화점(-94.85%) 2곳에 불과했다. 현금 사정이 급속히 악화한 기업 대부분이 중견ㆍ중소기업이라는 뜻이다.

특히 78곳은 보유 현금 및 현금성자산이 10억 원에도 못 미쳤고 19개사는 1억원도 안됐다. 이들 기업은 모두 소형주에 속했다.

한 소형사는 현금 및 현금성자산이 작년 말보다 97.3% 줄어든 152만원이었다. 사실상 `현금 제로' 상태인 셈이다. 영업활동에서 279억원이 빠져나간 결과다.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플러스인데, 투자 분야에서 돈이 많이 나간 기업도 있다.

한 회사는 영업활동에서 114억3000만원을 창출했다. 그러나 유형자산 취득에 259억1700만원을 투입했다. 현금이 부족한 이 회사는 올해 상반기에 484억3200만원을 차입해 절반은 기존 차입금 상환 등에 사용했다.

주요 대기업으로 구성된 10대 그룹의 현금 및 현금성자산의 평균 감소율은 5.0%로 상장사 평균치보다 낮았다.

10대그룹 70개사의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모두 24조6550억원으로 유가증권시장 634개사 전체 유동성의 50%를 차지했다.

업종별로는 비금속광물(-40.7%), 종이목재(-33.1%), 운수창고(-26.4%), 서비스업(-21.4%)의 현금성자산 감소율이 높았다.

시가총액 비중이 큰 대형주가 다수 포함된 업종 중에서는 전기전자 업종의 현금성자산 총액이 18.2% 줄어 운송장비(-2.4%)나 화학(-4.4%)보다 감소 폭이 컸다.

이는 상반기 정보기술(IT) 업황의 부진으로 수익이 기대에 못 미쳤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