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사태로 건설株 ‘벌벌’

입력 2011-09-14 10:5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저축은행 부실사태 여파로 건설업종에 대한 ‘투심’ 악화가 우려되고 있다. 최근 저축은행들이 대규모 적자를 기록하면서 대출회수에 나설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저축은행의 대출 회수가 시행사에 자금 압박으로 작용하면서 시공사 연대보증을 선 건설사들에까지 영향을 미칠 것이란 분석이다.

1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서울상호저축은행과 신민상호저축은행이 올 6월 기준 자본잠식상태라고 공시했다.

서울상호저축은행은 작년 8월 웅진 금융이 67.83% 지분을 취득하며 1100억원의 유상증자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대출 부실화 규모가 커지면서 자본금의 93.6%가 잠식된 것으로 나타났다.

신민 상호저축은행은 전액 자본 잠식 됐고, 자본 잠식률은 129.5%에 달했다.

적자 전환에 나선 저축은행도 줄을 이었다. 진흥저축은행과 한국저축은행이 적자 전환했다고 공시한 것.

이처럼 저축은행의 부실화가 가속화 되면서 저축은행의 대출 회수가 빨라 질 것이란 전망이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저축은행에서 자금을 조달해왔던 시공사들의 자금압박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최근처럼 부동산 경기가 침체된 상황에서 저축은행이 시공사들에 대한 자금회수에 나설 경우 시공사들의 자금 조달이 쉽지 않아 연대보증을 선 건설사들에까지 피해가 미칠 수 있을 것이란 우려감이 커지고 있다.

김상훈 하나대투증권 연구원은 “저축은행이 대출 회수에 나올 경우 시공사들이 만기가 도래하는 부채에 대해 어떻게 자금을 조달 할 수 있을지 우려스럽다”며 “저축은행의 부실과 맞물려 시공사 연대보증을 선 건설사들에 대한 우려도 다시 재기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저축은행 부실화에 따른 정부의 저축은행 구조조정이 예상되자 건설주들은 약세를 보이고 있다. 이달 들어 건설업종 지수가 단 하루를 제외하고 줄곧 약세를 보였다.

대형사보다는 중소형사들의 피해가 클 것이란 전망이다. 이왕상 우리투자증권 연구원은 “대형사들은 저축은행 문제와 관련해 큰 영향 없을 것”이라면서 “중소형사 중 일부가 PF 대출 만기 연장이 힘들 수는 있다”고 우려했다.

한종효 신영증권 연구원도 “저축은행의 2차 구조조정과 기업대출 기준 강화 등이 추석 이후에 구체화될 것으로 보인다”며 “정책의 강도에 따라 건설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가변적이지만 단기적으로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