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로만 2030소통? 갈길 먼 한나라

입력 2011-07-29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김정권 사무총장 대안 마련 고심… “SNS 전문가 영입” 주장도

최근 한나라당에선 SNS(Social Network Service)가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내년 총·대선을 앞두고 2030세대의 선거참여도가 갈수록 높아지는 상황이 자연스레 SNS로 눈을 돌리게 한다. 그러나 뾰족한 해답이 없어 갈 길은 멀어 보인다. 젊은층과 진보성향 유권자의 주장을 수용하는 속도가 느린데다 이들의 주요 소통창구인 온라인의 활용도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뒤늦게 대책마련에 나섰지만, 실효성에는 여전히 물음표가 찍혀있다.

김정권 사무총장은 취임 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내년 총선 전략과 관련 △2030세대와의 네트워크 구축 △디지털 환경에 적합한 홍보기능 강화 등을 제시했다. 2030세대를 끌어안는 게 정치현안 못지않은 당의 숙제라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김 총장은 29일 기자와의 통화에서 “김성훈 디지털정당위원장에게 구체적인 플랜을 제시하도록 지시를 해놨다”며 “조만간 그 안을 받아 대책을 세울 것”이라고 했다.

현재 디지털정당위원회에선 트위터 등 기존 SNS 활용방안을 포함해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한 이슈 홍보 방안 △온라인상에 질 높은 정보제공 △트위터와 메신저 기능이 결합된 차세대 SNS 대응전략 △디지털정당위 조직 개편 등을 마련 중에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디지털정당위원장이 원내에서 원외인사로 격하되면서 예산이나 지원이 뒷받침되기 힘들다는 지적이 나온다. 또 젊은 세대와의 소통창구인 SNS를 활용케 할 전문가의 부재 역시 문제점으로 꼽힌다.

정두언 의원은 “위원회나 조직을 통해 한다는 건 아날로그적 사고방식”이라며 “노사모처럼 자연스럽게 따라오게 해야 하는데, 지금 한나라당으로선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차라리 홍정욱 의원 등을 내세워 스타성을 키우고 2030이 좋아하는 정책과 메시지를 내야 한다”면서, SNS와 관련해서도 “전문가를 영입하는 것이 대안”이라고 강조했다.

이학만 부대변인도 “야당의 유비쿼터스위원회에 맞설 수 있는 미디어 전문가 영입이 우선”이라며 “예를 들어 SNS 특보나 여의도연구소 내 SNS 전문가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