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외환유동성 위험관리 나선 이유는

입력 2011-07-25 10:34수정 2011-07-25 11:1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은행차입 늘어 단기외채 증가세유럽 재정위기땐 외환시장 불똥

금융 감독당국이 은행의 외화유동성 관리에 나서 위험을 선제적으로 차단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최근 유럽의 투자자금이 느는 가운데 단기외채 비율도 증가세다. 유럽 자금이 빠져나갈 경우 두 위험이 하나로 합쳐져 외환시장의 혼란을 키울 수 있기 때문이다.

2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준비자산으로 단기외채를 나눈 단기외채비율은 올 1분기 49.1%이다. 이는 지난해 말 46.3%에 비해 2.8%포인트 늘어난 수준이다. 2010년 1분기 이후 1년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특히 단기외채비율 증가는 은행이 주도했다. 은행의 단기차입은 올 1분기 123억5000만달러이다. 전체 차입 증가규모인 135억달러의 91.4%가 단기차입인 셈이다. 같은 기간 정부, 민간기업 등을 합친 우리나라의 대외채무는 219억달러 늘었다.

금융위원회가 최근 은행권과 공동으로 12개 시중은행의 외화유동성 점검에 나선 이유인 것이다. 전체 외채 중 은행의 비중이 막대한 만큼 우선적으로 점검하겠다는 뜻이다.

‘금융기관 외화유동성 특별점검 태스크포스(TF)’는 은행과 공동구성 형태를 띄고 있지만 금융위에서 적극 추진했다. 한은이 오는 28일 발표하는 ‘6월 국제수지’에서도 은행의 단기차입이 전달보다 늘어난 것으로 점쳐진다. 추가 확대를 막겠다는 정부의 의지가 담긴 셈이다.

최근 TF 회의에서는 은행에게 외환부문의 ‘스트레스 테스트(최악의 시나리오를 가정한 모의실험)’의 기준을 상향 조정할 것으로 권고했다. 또한 은행이 외화 안전자산과 ‘외화 커미티드라인(마이너스대출 성격의 금융회사 간 단기 외화차입선)’을 더 많이 확보하도록 주문했다.

시중은행 임원은 “현재 외화유동성 문제가 불거졌다기 보다는 사전적 차단 의지로 해석했다”고 말했다.

지난달 말 현재 잔존만기 3개월 이내 외화자산을 3개월 이내 외화부채로 나눈 ‘3개월 외화유동성 비율’은 100.3%이다. 이는 지도기준(85%)을 넘은 수준이다.

현재 안정적인 수치임에도 유럽계 투자자금이 늘어나는 것은 불안 요인이다. 그리스에 대한 추가구제금융을 합의했지만 도화선은 남아있기 때문이다.

외국인투자 중 유럽연합의 비중은 지난해 말 30.1%(2481억달러)로 가장 크다. 올 1분기에도 외국인 채권투자가 늘면서 이같은 증가추세가 이어졌을 것으로 보인다. 유럽의 재정위기가 확산해 유럽 자금이 급격히 빠질 경우 국내 금융시장의 혼란은 불을 보듯 뻔한 것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