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0만원 미만 예금자 속앓이…“차라리 파산시켜 달라”

입력 2011-07-13 10:1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부산저축銀 점거 농성으로 매각 중단

“점거 농성을 풀어달라고 비대위쪽과 직접 통화도 했었는데 도저히 말이 통하지 않는다. 예보에서 점거농성을 방치하는 것도 책임 유기다. 차라리 파산해서 원금이라도 빨리 돌려 받았으면 좋겠다.” - 부산저축은행 예금자 김모씨

부산저축은행 5000만원 미만 예금자들이 속앓이를 하고 있다.

5000만원 초과 예금자들과 후순위채 투자자들의 점거 농성이 계속되면서 매각 작업이 중단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같은 처지의 피해자들끼리 너무 한다’는 비난 탓에 부산저축은행 비상대책위원회의 점거 농성을 중단하라고 큰 목소리를 내지도 못하는 상황이다.

13일 저축은행권에 따르면 부산저축은행 비대위의 농성이 두 달 가량 이어지면서 5000만원 미만 예금자들의 2차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부산저축은행 예금자 13만명 중 12만명이 5000만원 미만 예금자다.

비대위가 초량본점을 점거하고 실사를 막으면서 부산저축은행 처리는 계속 지연되는 상황이다. 실사를 하지 못하면 파는 예보나 인수자도 가격을 책정할 수 없다.

지난 2월 영업정지를 당한 7개 저축은행 중 중앙부산·부산2·도민저축은행 세 곳은 이미 대신증권에 인수돼 오는 9월 영업을 재개할 계획이다. 1차 매각에서 인수자가 나서지 않은 4개 저축은행 중 부산저축은행을 제외한 대전·전주·보해저축은행은 이달 초부터 2차 매각에 돌입했다.

예금자 최 모씨는 “돈을 얹어줄테니 부실 저축은행 사가라고 해도 안 팔리는 마당에 실사도 방해하면 누가 부산저축은행을 인수하겠나”라며 “온라인 커뮤니티에 매각될 수 있게 실사는 하게 하자고 했는데 ‘너희들은 이자 손해지만 우리는 전재산이 다 날라갔다’, ‘남도 아니고 같은 피해자끼리 너무 야박하다’는 식의 말만 들었다”고 말했다.

5000만원 이하 예금자들 사이에서는 매각이 힘든 상황이라면 파산이라도 해서 조속히 원금이라도 돌려달라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부산저축은행이 파산할 경우 5000만원 이하 이자 손실은 545억원에 달한다.

예금자 김 모씨는 “5000만원 이상 예금자들과 후순위채 투자자들이 마치 피해자 전체를 대변하는 듯 행동하지만 그들의 주장은 극히 소수의 강경한 목소리일 뿐”이라며 “영업정지가 벌써 넉 달이나 됐는데 이자를 2%만 받더라도 차라리 파산해서 원금을 빨리 건졌으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