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금융권 감사 빈자리 채운 정치인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금감원 출신 금융회사 감사들 중 상당수가 자리에서 밀려났다. 여전히 자리를 보존하고 있는 인사들도 있지만 연임은 힘들 것이란 것이 업계의 중론이다.

이에 터질 것이 터졌다며 이번을 자정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목소리가 높다. 그러나 막상 금융회사들은 ‘울상’이다. 이들이 떠난 자리를 채울만한 인물이 없다는 것이다.

그러자 금융당국에서는 학계나 금융권 등 다른 곳에서 인물을 찾으면 된다며 인물이 없다는 건 핑계가 아니냐고 다그쳤다.

심지어 일각에서는 금감원 출신 간부들을 통해 금감원에 로비를 할 수 없는 것에 대해 아쉬워 하는 것이 아니냐고 지적하기도 했다.

이에 금융회사들이 새로운 카드를 내세웠다. 바로 ‘정치인’들이다.

서울보증보험을 비롯해 기업은행, 동양종금증권 등이 정치인들을 잇따라 감사로 임명했다.

하지만 금융회사들의 이같은 선택에 아쉬움이 남는다. 아니 아쉬움을 넘어 안타까움 마저 느껴진다. 금감원 출신을 피하는데만 집중하다 ‘자충수’를 둔 것이 아니냐는 우려에서다.

금융회사들이 금감원 인사들을 감사를 선호했던 가장 큰 이유는 감사라는 업무가 전문성을 요구한다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 자리에 금융회사가 정치인을 선택했다는 것은 그동안 온갖 비난에도 금감원 인사를 고집하며 내세웠던 스스로의 논리를 부정하는 것이 된다.

만약 이들 금융회사들이 정치인들이 가진 전문성 때문에 이들을 선택했다고 주장한다면 그것도 석연치 않다.

정치인이 금융회사 감사로써 가질 수 있는 전문성이란 것이 ‘로비능력’일 수 밖에 없다는 것은 뻔한 사실이다. 이번 정치인 출신들의 금융회사 감사 진출을 놓고 ‘제2의 낙하산 감사’라는 비난이 나오는 이유다.

뚜렷한 대안 없이 금감원 출신이면 무조건 안된다는 여론을 조장한 금융당국도 ‘전전긍긍’ 금융당국의 눈치만 보다가 대안 찾기에 실패한 증권사도 책임을 피할 수 없는 상황이다.

비난을 위한 비난 만이 존재해서는 안된다. 금융시장 개혁을 위해 진정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다시 한번 생각해 봐야 할 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