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의 남자' 강만수-이팔성 정면 충돌

입력 2011-05-17 11:00수정 2011-05-17 12:5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우리금융 '산은 인수 논리' 반박…오늘 공자위서 판가름

▲이팔성 우리지주 회장(왼쪽)과 강만수 산은지주 회장
이명박 대통령의 측근이자 현직 금융권 최고경영자(CEO)인 강만수 산은금융지주 회장과 이팔성 우리금융지주 회장이 정면 충돌했다. ‘우리금융+산은금융’ 합병안(메가뱅크론)을 놓고 서로 이견을 보인 것. 특히 이 회장은 강 회장의 시나리오에 조목조목 반박하며 불쾌해 하는 모양새다.

따라서 금융권 안팎에선 오늘(17일) 오후 공적자금위원회가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우리금융 지분 매각과 민영화 방안을 어떤 방향으로 결정할지, 최후의 승자가 누가될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금융은 산은금융이 구상하는 합병 시나리오에 대해 반박하며 맞서고 있다.

우리금융측은 우선 산은금융이 인수하는 것은 ‘진정한 민영화가 아닌 돌려막기’에 불과하다는 주장이다. 우리금융측은 “국책 금융기관인 산은금융이 우리금융을 인수하는 것은 정부의 지급보증이 수반되는 재정자금으로 공적자금을 상환하는 것과 다를 바가 없다”며 “이를 두고 공적자금이 상환된다고 주장하는 것은 국민을 기만하는 행위”라고 주장했다.

절차와 시간이 더 소요될 것이라는 점도 문제삼고 나섰다. 앞서 산은금융은 투자자 공모(우선주 발행)를 통한 우리금융 인수→산은금융 상장→합병 과정을 거치면 정부지분이 자연스럽게 50% 안팎까지 낮아져 민영화 효과를 충분히 거둘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우리금융측은 “인수 후 상장 등에만 최소 1년 6개월 이상 소요되고 산은금융이 완전히 민영화되는 데는 최소 20년 이상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시너지효과에 대해서도 우리금융측은 의문점을 제기했다. “산은금융이 대기업, 우리금융은 중소기업 중심 고객을 보유하고 있어 두 은행이 합치면 시너지효과가 클 것”이라는 산은 측의 주장에 대해, 우리금융측은 “국내 주채무계열 기업군 37개 중 23개가 합병은행의 주채무계열 기업이 돼 산은의 주장은 사실 자체가 다르다”는 입장이다.

논란은 메가뱅크론의 적절성으로까지 번지고 있다. 산은금융이 “메가뱅크가 탄생하면 기업가치가 상승해 투자 유치도 수월해질 것”이라는 낙관적 전망을 낸 데 대해, 우리금융은 “관치금융과 정부 간섭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국내 금융산업의 현실을 감안할 때 국책은행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은 요원하다”고 반박했다.

특히 정부가 우리금융 민영화를 쉽게 하기 위해 금융지주회사가 다른 금융지주회사를 인수할 경우 최소 지분 요건을 현행 95% 이상에서 50% 이상으로 완화하려는 조치에 대해, 금융권 안팎에선 명백한 특혜란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한 금융권 고위 관계자는 “결국 정부가 나서 법령까지 고쳐주려고 하고 있는데 향후 특혜 시비에 휘말릴 우려가 크다”고 지적했다.

한편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17일 오후 회의를 열고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우리금융 지분 56.97%의 매각여부와 민영화 추진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