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도상가 29곳 '공개입찰' 한다

입력 2011-05-17 10:1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서울시내 29개 지하도상가(점포수 2738개)의 임대차 방식이 점포별 수의계약에서 상가단위 공개입찰로 바뀌어 시민 누구나 입찰할 수 있게 된다.

서울시는 강남권 5개 지하도상가에 도입한 공개 경쟁입찰 방식을 나머지 24개 상가에도 적용하기로 했다고 17일 밝혔다.

이에 따라 시는 이달 시청광장, 명동역, 을지로입구, 종각, 을지로 등 5개 상가의 입찰 공고를 내는 것을 시작으로 내년 1월까지 24개 상가에 대해 입찰을 진행키로 했다.

시는 낙찰업체와 5년 단위로 계약을 하고, 낙찰업체와 개별 점포주도 같은 기간 계약토록 할 방침이다.

입찰 평가에서 임대료 가격은 100점만 부여하고 상가 활성화와 공공성, 임차상인 보호 방안에는 각 300점씩 총 900점을 배정해 개별 점포주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로 했다.

시는 임차권의 양도·양수 금지, 1인 다점포 금지안은 시민의 의견을 수렴해 최종 결정키로 했다.

시는 2007년 중소기업청 조사에서 지하도상가 29곳 중 3곳만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평가됨에 따라 상권을 활성화하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상가 단위로 경쟁입찰 방식을 도입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그러나 상인들의 반발과 경제위기 상황을 고려해 2008년 강남권만 우선적으로 시행하고 나머지 상가는 3년간 경쟁입찰을 미뤘다.

이인근 서울시 도시안전본부장은 “공공재는 시민세금으로 유지 관리되는 만큼 공공성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며 “상인들의 반발로 몇 번에 걸쳐 미뤄진 공개입찰이 현실화되면 지하도상가의 공공성과 거래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