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산은금융 합병 움직임에 정면 대응

입력 2011-05-16 17:04수정 2011-05-17 06:2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우리금융지주가 산은금융의 합병 운직임에 정면 대응하고 나섰다.

산은금융이 내부적으로 작성한 우리금융 인수 검토 내용이 언론에 공개되자 우리금융도 16일 “산은금융이 5월초 이전부터 우리금융 인수를 위해 금융위원회와 치밀한 각본을 짜온 것이 사실로 드러났다”고 반박에 나섰다.

우리금융은 “산은금융의 우리금융 인수는 재정자금으로 공적자금을 상환하는 것과 같아 국민을 기만하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이는 산은금융이 회사채, 전환사채, 우선주 발행 등 어떠한 형태로 인수자금을 조달하더라도 100% 국책 금융기관이 조달한 자금은 정부의 지급보증이 수반되는 재정자금이라는 것이다.

우리금융은 또 “산은금융은 우리금융 합병 후 상장 등을 통해 자본을 민간에 매각해야 민영화를 이룰 수 있다”며 “또한 산은금융이 우리금융을 인수한 후 IPO를 시작하기까지는 최소한 1년6개월 이상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민영화는 더욱 지연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특히 합병 후 정부 보유 지분이 50~60%로 낮아질 것이라는 산은금융의 주장에 대해 “우리금융 인수 후 산은금융의 연결 자기자본은 현 22조6000억원에서 39조5000억원으로 증가한다”며 “산은금융이 우선 10%의 지분을 상장하고 우리금융 소수 지분에 따른 주가 희석 효과를 감안하더라도 정부 보유 지분은 65.7%(19조7000억원)에 이른다”고 반박했다.

더구나 “인수 후 양도세를 부담하지 않는 적격 합병 요건을 갖추기 위해서도 최소 2년이 경과해야 한다”며 “우선 산은금융이 우리금융 합병 후 정부 지분 하락 효과를 보려면 최소 3년이 지나야 하며 합병 후 산은금융의 정부 지분 19조7000억원과 우리금융 합병으로 인한 자사주 9조500억원 등을 매각하는 데는 상당한 시일이 걸린다”고 주장했다.

또 산업은행과 우리은행이 합쳐 글로벌 은행이 탄생할 것이라는 주장에 대해서는 “두 은행을 합병해봐야 자산규모가 505조원으로 글로벌순위가 54위로 50위권에 들지 못한다”며 “합병 시 동일인 한도 등으로 기업 고객이 빠져나가면 자산규모는 더 줄어든다”고 언급했다.

특히 “정부 소유의 비효율적인 대형 국책은행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중국의 대형 국책은행이나 일본의 대형은행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지 못하고 있는 사례가 이를 입증하고 있다”고 강조햇다.

그러면서 “낮은 신용등급으로 자금을 조달해 등급이 높은 자산으로 운용하기 때문에 역마진이 발생할 수 있고 대형 프로젝트의 파이낸싱은 여전히 쉽지 않다”며 “관치금융과 정부 간섭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국내 금융산업 현실을 감안할 때 국책은행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은 요원하다”고 지적했다.

우리금융은 또 “산업은행과 우리은행간 합병은행은 국내 주채무계열 37개 가운데 23개를 맡아 국내 대기업시장의 70%를 점유한다”며 “이는 국책은행을 통한 금융지원이 간접적인 보조금 지급으로 간주돼 주요 국가와의 통상마찰을 일으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우리금융측은 “경제규모에 걸맞은 대형 리딩뱅크가 필요한 것은 사실이지만 민간 자율성과 창의성에 바탕을 두고 시장경쟁력을 갖춘 대형 민간은행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