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 소속부 개편 2주] 거래소 옥상옥 규제…보여주기식 비판도

입력 2011-05-16 10:1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소속부 변경에 따른 해당기업들의 명암이 엇갈린 가운데, 일각에서는 이번 소속부 개편안이 ‘보여주기(Showing)식’이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투자주의 환기종목들은 경영 위험이 도사리고 있던 기업들이지만 규모나 실적면에서 시장의 관심 외곽에 있던 기업들이 대부분이다. 특히 우량기업부나 중견기업부에는 거래소가 임의로 지정하는 프리미어지수나, 히든챔피온에 속한 기업들이 모두 포함돼 있어 ‘그 밥에 그 나물’이라는 평가다.

A증권사 스몰캡 팀장은 “이번 소속부 개편안에 속한 기업들에 대해 사실 주의깊게 지켜본 곳이 없다”며 “일단 대부분 기업들의 규모 자체가 작고 업계 대표기업들이 아닌 경우가 많아 그런 점도 있지만, 기업들의 주가는 살아 움직이는 것인데 시장에서 이슈가 되고 주목받는 기업이 아닌 거래소의 입맛에 맛는 기준에 속한 기업들이 많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실제로 작년부터 증시가 리먼사태 이전 수준을 넘어서는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고 거래대금이 증가하는 등 전반적으로 시장이 호황기를 맞자, 거래소가 코스피시장에 비해 수요기반이 미약하고 건정성 논란이 있는 코스닥시장에 보여주기식 이벤트를 많이 펼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B증권사 관계자는 “실제로 우량기업으로 지정된 뒤 관리종목이나 상폐사유가 발생하는 경우를 제외하더라도, 우량기업군에서 이탈된 기업들에 페널티가 없는 것이 사실 아니냐”라며 “거래소 임의 지정으로 프리미어지수에 포함돼 우량소속부에 있는 기업들 중, 지난해 적자를 낸 곳도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거래소측은 아직 이번 소속부 재편에 따른 평가를 말하기에는 이르다는 입장이다.

거래소 관계자는 “업계 이슈와 시장 상황에 따라 주가는 움직이기 때문에 아직 이번 재편안에 대한 결과를 논하기에는 이른 시점”이라며 “소속부 제도 개편의 취지는 우량기업의 일부 부실우려 기업이 동일시 되는 부정적 이미지를 개선하고 우량기업과 성장형 기업에 대한 펀드개발 등 기관투자자들의의 투자 확대”라고 설명했다.

또 “일부 기업이 투자주의 환기종목으로 지정돼 불만이 있을 수 있지만, 해당기업들은 그 부분을 탈피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고 이는 결국 시장건전화를 위한 성장통으로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