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하반기 가계대출 이자연체 가구 13%에 달해

입력 2011-05-08 14:0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부채원금 상환 못한 가구 10.3%

지난해 하반기 대출이자를 연체하거나 부채 원금을 상환하지 못한 가구수가 10곳 중 1~2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부채원금을 상환하지 못한 가구도 10곳 중 1곳에 달했다.

한국은행이 8일 내놓은 `2010년 가계금융조사(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최근 6개월간 부채에 대한 이자 지급을 연체한 사례가 있는 가구는 전체의 13.0%를 차지했다.

이자를 연체한 이유로는 소득감소(47.3%)가 가장 많았고 예상치 못한 지출 발생(24.5%), 자금융통 차질(15.2%) 등 순이었다.

또 최근 6개월간 부채원금을 상환하지 못한 적이 있는 가구는 전체의 10.3%로 조사됐다. 저축을 통한 상환자금 마련에 실패했기 때문이라는 응답(43.7%)이 가장 많았으며 부동산 처분 등을 통한 상환자금 조달계획 차질(17.6%), 금융기관의 만기연장 불허(8.3%) 등의 응답이 뒤를 이었다.

또한 현재 부동산 가격 수준이 높다고 생각하는 가구가 61.4%로 낮다고 생각하는 가구 14.7%에 비해 월등히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향후 부동산가격 전망에 있어서는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는 가구가 42.5%로 ㅎ하락할 것으로 예상하는 가구 21.7%의 두배 정도로 나타나 가격 상승에 대한 전망이 우세했다.

아울러 무주택가구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향후 내 집 마련이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가구는 73.1%였고,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가구주 연령이 낮을수록 낙관적인 견해를 보였다.

내 집 마련에 걸리는 기간은 10년 이내라는 응답이 30.1%로 가장 많았으며 5년 이내는 24.6%, 15년 이내는 8.5%, 20년 이내는 8.3%, 30년 이내는 1.6%였다.

가계 생활비 가운데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지출 항목은 식료품비(23.2%)가 꼽혔다.

사교육비(20.5%)가 근소한 차이로 두 번째를 차지했고 병원비(15.0%), 대출금 이자(13.7%), 학교 등록금(7.9%) 순으로 조사됐다.

가계 지출 가운데 사교육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가구주 연령이 30~40대인 가구에서 특히 높았고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사교육비 지출비중이 가장 큰 가구 비율도 증가했다.

특히 소득 상위 20%에 속하는 5분위 계층은 15.2%가 사교육비로 월평균 100만원을 넘게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병워비는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지출비중이 가장 큰 가구가 많았고 고령 가구주 가구에서 급격한 증가를 보였다.

최근 6개월간 생활비가 1년 전보다 증가한 가구는 54.4%로, 감소한 가구(15.5%)보다 월등히 많았다. 월병균 생활비가 가장 많이 늘어난 지출항목은 식료품비(30.4%), 사교육비(22.6%), 병원비(14.5%), 대출금 이자(9.8%), 학교 등록금(6.5%) 순이었다.

최근의 물가상승률에 대해서는 높다고 생각하는 가구가 93.5%로 지배적이었다.

가계의 가장 큰 경제적 애로사항은 물가상승(32.2%), 소득감소(20.9%), 경기침체(15.3%), 고용불안(9.6%), 부동산가격 상승(6.1%), 금리상승(4.9%) 등이었다.

이에 따라 한은과 정부가 기준금리와 경제정책을 결정할 때 먼저 고려해야 하는 사항으로 물가 및 부동산 가격 안정을 가장 많이 꼽았고 '경제성장 및 고용확대'가 뒤를 이었다.

이번 조사는 통계청이 한은, 금융감독원과 공동으로 실시한 `2010년 가계금융조사(본조사)'에 대한 한은의 부가조사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조사 대상은 전국 2천9개 도시가구이고 조사기간은 지난해 11월22일부터 12월 24일까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