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판자촌 구룡마을에 아파트 2793가구 건립

입력 2011-04-28 11:0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20년 이상 방치돼왔던 서울의 대표적인 빈민 판자촌인 개포동 구룡마을이 공영개발 방식으로 개발돼 아파트 2800여가구가 들어선다.

서울시는 SH공사가 구룡마을을 개발해 2016년까지 아파트 2793가구를 공급할 계획이라고 28일 밝혔다.

1980년대 말부터 오갈 데 없는 빈민들이 하나 둘씩 모이면서 만들어진 무허가 판자촌인 구룡마을에는 현재 1242가구 2530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지만 생활환경이 열악해 정비가 시급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서울시는 25만2777㎡ 상당의 자연녹지지역인 구룡마을을 제2종 일반주거지역으로 변경해 기존 거주민이 재정착할 수 있는 영구·공공임대 아파트 1250가구를 포함해 총 2793가구를 공급하기로 했다.

기초생활수급자에게는 영구임대아파트를, 나머지 가구에는 공공임대아파트를 제공하며, 가구원 수에 따라 다른 수요를 충족할 수 있도록 전용면적도 59㎡ 374가구, 49㎡ 374가구, 39㎡ 251가구, 29㎡ 251가구 등으로 세분화할 계획이다.

사업 기간에는 거주민 가구원수별로 주거이전비를 지급하고 저소득층을 위해 전세보증금 융자도 알선할 예정이다.

거주민들이 원할 경우 기존에 비어 있는 여타 지역의 임대아파트를 활용하는 방안도 모색 중이다.

서울시는 이 지역을 민간에 맡기지 않고 SH공사가 주도하는 공영개발 방식으로 개발하기로 했다. 이는 민영개발 방식으로 하면 개발이익 사유화에 대한 특혜 논란이 있을 수 있고 사업이 부진할 경우 현지 거주민의 주거 대책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우려에 따른 것이다.

구룡마을과 인접한 도시자연공원은 원칙적으로 사업구역에서 제외하되 무허가 건축물로 훼손된 지역은 정비구역에 포함시켜 공원으로 조성한 뒤 기부채납하도록 했다.

사업과정에서 발생하는 개발이익은 공공에 재투자해 거주민들의 복지나 소득을 지원할 수 있는 시설을 만들고, 학교와 도로, 공원, 녹지 등을 충분히 조성해 쾌적하고 친환경적인 주거단지를 조성할 방침이다.

외부 투기세력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강남구가 현지 거주민을 대상으로 주민등록을 등재하는 계획도 진행 중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