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회사 미국' CEO, 주총 시즌 앞두고 긴장

입력 2011-04-26 13:4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CEO 보상상한액 관련 주주 의결권 행사 골자로 하는 일명 'Say-on-pay' 법안 시행

미국 대기업 경영진이 새 금융개혁법 도입으로 주주들이 급여에 대한 발언권을 행사하기 전에 자발적인 급여 감축에 나서고 있다.

주주들이 CEO의 보상상한액에 대한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급여에 대한 주주 발언권(Say-on-pay)' 규정을 포함한 새 금융개혁법 도입에 따라 CEO들이 자발적으로 급여를 줄이기 시작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2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기업의 보상전문컨설팅업체인 클리어브리지가 포춘500대 기업의 상위 100개사가 주주에게 보낸 '위임설명서(proxy statement)'를 분석한 결과 40여개 기업이 경영진에 조건부로 부여한 세금 우대조항을 삭제했다.

조사 대상기업 중 79개 기업은 퇴직경영자의 보너스를 환수했고 34개 기업도 이런 규정을 채택하거나 강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너럴일렉트릭(GE)의 경우 주주 요구를 수용해 제프리 이멜트 CEO에 대한 스톡옵션 부여조건을 강화하고 권리행사 시기도 늦추기로 했다.

이멜트 CEO는 당초 예정보다 2년이 지난 2015년이 되면 스톡옵션을 행사할 수 있다. 옵션행사는 게다가 경영목표를 달성했을 때만 100% 행사할 수 있다.

또 퇴직금 패키지 축소를 검토하는 기업이 속속 나오고 추후 보너스를 환수하는 조항을 채택하는 사례도 늘어나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금융위기 재발 방지를 위해 지난해 승인된 '도드-프랭크' 금융 개혁법은 주주가 비록 구속력은 없지만 임원 보수에 관해 표결로 의사를 표명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인수 합병으로 퇴임하는 임원에게 거액의 퇴직금이나 스톡옵션을 주는 이른바 '황금 낙하산'(골든 패러슈트)에 대해서도 투표할 수 있으며 회사에 지급 계획에 관한 정보 공개도 추가로 요구할 수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