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코스닥 기업 ‘분류표’ 달기 논란

입력 2011-04-26 11:52수정 2011-04-26 13:4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거래소가 시장건전성을 회복하기위해 코스닥기업에 칼을 빼들었지만 실효성에 대해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실적악화 기업이나 상장폐지 직전 기업들이 우량기업에 편입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논란에 휩싸인 것이다.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는 다음달 2일부터 코스닥 상장기업을 우량기업부, 벤처기업부, 중견기업부, 신성장기업부, 투자주의 환기종목 등 5개 체제로 분류하는 새로운 소속부제를 시행할 예정이다.

주가조작, 배임ㆍ횡령 등 잡음이 끊이지 않던 코스닥 기업들을 세분화시켜 시장건전성을 회복하겠다는 취지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시행 전부터 거래소의 소속부 선정 기준에 대한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지속적으로 실적이 악화되고 있는 기업이나 최대주주의 횡령 등의 사건으로 상장폐지 직전까지 갔던 기업들도 우량기업에 포함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3년 평균치 재무재표를 기준으로 삼다보니 최근 실적이 급격히 악화되고 있는 기업들의 실정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번 거래소의 분류작업에 코스닥기업들과 투자자들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기업의 본질적인 가치는 변하지 않지만 소속부가 어디냐에 따라 주가가 재평가를 받을 수도 있지만, 투자자들에게 외면을 받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현재는 일반기업부에 속해있지만 우량기업부에 속하지 못하면 투자자들에게 부실 이미지를 심어줄 수도 있다는 것이다.

거래소 측은 일정기준을 공표하고 그 기준에 따라 기업을 분류했기 때문에 명단 선정에 문제는 없다는 입장이다. 3년 평균을 기준으로 했기 때문에 하향추세 기업이 포함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코스닥기업 소속부 변경은 시작전부터 논란거리를 안은 채 다음달 2일 시행하게 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