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위치정보 수집' 파문 전세계 확산

입력 2011-04-24 22:58수정 2011-04-25 08:1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유럽ㆍ美, 자체 조사 착수

애플의 스마트폰인 아이폰의 사용자 위치정보 무단 저장 파문이 전 세계로 확산되고 있다. 파문의 진원인 애플은 정작 묵묵부답이어서 궁금증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23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독일과 이탈리아 정부는 애플의 위치정보 추적 논란에 대해 조사에 착수했고 프랑스도 이번 주초 애플에 공식 해명을 요구할 계획이다.

같은날 AP통신은 미국 정부 역시 조사에 착수했다고 보도했다. 통신에 따르면 연방통신위원회(FCC)와 연방거래위원회(FTC)는 애플이 사용자 몰래 위치정보를 저장한 사실에 대해 조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이폰 사용자들은 자신도 모르게 위치정보가 저장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는 가운데 애플이 어떤 이유로 위치정보를 저장했는지, 이 서비스로 최대 수혜주는 누구인지에 대해서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크리스천사이언스모니터(CSM)는 특정거리를 지나가는 사람들에게 타깃마케팅을 펼칠 수 있다는 점에서 광고주들이 위치정보 저장 서비스의 혜택을 볼 수 있는 첫 번째 대상으로 꼽았다.

과학수사 당국도 범죄자를 잡는 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혜택을 볼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됐다.

신문은 실제로 많은 업체가 컴퓨터 수사 전문가들을 법 집행기관에 파견해 휴대형 기기와 소프트웨어로 위치정보를 추적해내는 교육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 과학수사 당국도 이 같은 위치추적 기능을 수사에 활용해 온 것으로 전해지면서 논란을 불러 일으켰다.

전문가들은 애플의 위치정보 저장은 공공연한 비밀이었다고 지적하면서 애플의 데이터 저장은 의도적이었다는 반응이다.

이번 문제를 처음 제기한 알라스데어 앨런과 피트 워덴 2명의 보안전문가는 CSM에 "왜 애플이 그 데이터를 수집했는지 모르지만 확실히 의도적이었다"고 밝혔다.

논란이 커지자 구글은 애플과 달리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의 위치정보 수집과 관련해 공식 해명에 나섰다.

구글은 지난 22일(현지시각) 마이크 넬슨 대변인을 통해 “안드로이드폰에서 사용자 위치정보를 전송받아왔지만 이를 익명화했고 사용자 동의를 받은 경우에만 수집했다”고 공식적으로 밝혔다.

앨런과 워덴이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한 기술회의에서 애플의 사용자 정보 무단 수집 문제를 처음 제기하고, 이튿날 구글 역시 사용자 위치정보를 전송받아 왔다는 지적이 나온 지 하루 만이다.

반면 애플은 4일이 지나도록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은 채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어 구글과 대조를 보이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