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銀 장마저축 이자 지급 지연된 사연은

입력 2011-04-22 11:00수정 2011-04-22 11:4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국민은행이 장기주택마련저축(장마저축) 가입자 3만7513명의 이자 26억원을 뒤늦게 지급해 고객들의 원성을 사고 있다. 국민은행은 단순 실수라고 해명했지만 이자 지급이란 은행의 핵심 업무에서 발생한 이번 사고로 신뢰도는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22일 국민은행에 따르면 2003년 5월부터 시판된 이 상품은 5년 이상이 지나 해지할 때는 초기 3년에 대해선 고정금리를 적용했다. 이후에는 변동금리가 부여된다. 하지만 국민은행은 모든 기간에 변동금리를 적용해 이자를 적게 지급했다. 당시 고정금리가 변동금리보다 높았기 때문이다.

국민은행은 해당 직원이 상품 구조를 잘못 해석해 모든 기간에 변동금리를 적용했다고 설명했다. 단순 프로그래밍 입력 오류로 이자 계산이 잘못됐다. 문제는 상품의 이자 적용 방식에 대한 검증 절차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것이다.

통상 은행권의 상품 시스템은 몇 단계의 검증 단계를 거친다. 해당 직원이 입력하면 상급직원이 확인하는 식이다. 하지만 국민은행은 이 같은 과정에서 문제점을 드러냈다.

국민은행은 이 같은 오류를 직접 발견하지도 못했다. 지난해 12월 고객들이 이자가 적게 지급됐다고 항의하자 뒤늦게 사태 수습에 나섰다. 5개월이나 지난 뒤인 이달 4일부터 피해고객에게 사과하고 미지급한 이자를 송금하고 있다.

하지만 21일까지 30%에 해당하는 1만1000여명이 연락이 닿지 않아 이자 지급이 지연되고 있다. 이 때문에 금융권 안팎에서는 국민은행이 사실을 숨기려 했던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일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