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맹이 빠진 역사교육 강화 방안

입력 2011-04-22 10:07수정 2011-04-22 10:0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수능·공무원시험 필수과목 지정 제외

정부가 학생들의 역사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대책을 내놓았지만 수능 및 공무원시험 필수과목 지정이 제외되는 돼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 국사편찬위원회, 역사교육과정개발추진위원회는 22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고교에서 한국사를 필수 과목으로 하는 내용의 역사 교육 강화 방안을 공동 발표했다.

정부는 그 동안 고등학교에서 선택과목으로 돼 있던 한국사를 2012학년도 입학생 부터 계열에 관계없이 모든 학생들이 반드시 이수하도록 해 학생들의 역사 인식을 높이도록 했다.

하지만 일부에서 지속적으로 요구해 온 수능 필수 과목안은 포함되지 않아 실효성이 있겠느냐는 지적이 나온다.

수능에서 한국사를 선택하지 않은 학생들이 과연 관심있게 수업에 참여하겠는냐는 것이다. 현재 사법시험과 국회 9급, 법원 5급시험 등에서 한국사 필수 과목 지정도 빠져 있다. 교과부는 앞으로 관계 기관과 협의할 예정이라고만 밝혔다.

전공 교과에 관계없이 한국사 능력검정시험 3급 이상의 소양을 갖춘 교사를 임용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앞으로 검토한다는 입장이다.

교과부 관계자는 "수험 준비생 등을 고려해 예고기간을 두고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어 이들 시험의 필수과목 변경이 이번에는 포함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교과부 관계자는 수능에서의 한국사 필수 과목안에 대해서는 "진로와 상관없이 필수로 지정해 억지로 공부하게 하기보다는 교육과정의 내용 개선을 통해 학생들이 관심을 갖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앞으로 개발될 역사 교과서는 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게 배울 수 있도록 개선해 흥미와 동기유발이 될 수 있는 탐구·체험 요소와 긍정적·미래 지향적인 내용 요소, 세계사와의 연관성을 강화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초등학교는 일화와 역사인물이야기, 중학은 정치사건, 고교는 시대별 사회구조 파악에 중점을 두고 내용을 구성할 예정으로 8월까지 역사교육 과정을 개발해 교과서를 개편할 계획이다.

또 암기·지식 전달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수업을 개선, 토론·탐구·체험 중심의 역사 수업이 될 수 있도록 교원 연수를 확대하고 찾아가는 박물관이나 유적지 탐방, 답사 등 다양한 수업 모델과 학습 자료를 개발·보급, 지역사회 유관기관과 연계한 역사 체험 프로그램을 확대하기로 했다.

정부는 한국사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지속적인 역사교육이 가능하도록 역사 교육을 위한 지원 체제도 구축하기로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