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껏 뭐했나?”…의혹만 키운 농협 전산장애 사고원인

입력 2011-04-18 16:55수정 2011-04-19 09:3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해킹 아닌 사이버테러로 규정...말바꾸면서 불신만 키워

농협의 전산장애가 일주일째 이어지면서 사건이 더욱더 미궁으로 빠져들고 있다. 농협 측이 재차 말을 뒤바꾸면서 사고 원인 파악이 어려울 뿐더러 불신만 키워가고 있기 때문이다.

농협은 18일 사고 원인에 대해 고도의 전문가의 소행이라며 사이버 테러로 규정했다. 당초 해킹은 결코 아니다라는 입장에서 급선회한 것.

농협이 이 같이 방향을 바꾼 것은 전산장애 복구가 지연되면서 더 이상 사건 경위를 은폐하기 어렵기 때문이었던 것으로 풀이된다.

농협 관계자는 이날 “파일 삭제 명령은 최고의 명령이다”며 “상상할 수 없는 명령이 들어왔고, 동시에 실행될 수 있도록 구성됐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사실은 지난 12일 사고가 처음 발생했을 때부터 알았던 것으로 풀이된다. 모든 파일 삭제 명령이란 심각한 사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 전체 전원을 내리는 결정을 내렸기 때문이다.

농협은 또 이번 사건이 정보를 빼내기 위한 것이라기 보다는 농협 전산망을 파괴하기 위한 시도라고 보았다. 하지만 고도의 전문가 소행으로 해석해 놓고 아무런 정보 취득도 없었다는 것에대해서 선뜻 납득이 가지 않는다는 반응도 거세다.

전국농업협동조합 노동조합은 오는 19일 의문만 키우고 있는 최원병 회장의 즉각 사퇴를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열 예정이다.

삭제 명령이 최초 어디서 내려졌는지도 여전히 밝혀지지 않고 있자. 농협은 이날 사고 브리핑에서 협력업체의 노트북 컴퓨터에서 삭제 명령이 들어간 파일이 실행됐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날 오후 이 사건을 수사중인 서울중앙지검 첨단범죄수사2부에 따르면 삭제 명령이 노트북에서 생성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검찰은 삭제 명령어가 이동식 저장장치(USB)나 특정 프로그램을 통해 다운로드 됐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금감원과 한은은 오는 22일까지 농협에 대해 특별 공동검사에 착수했다. 금감원은 이번 특별검사에서 농협의 전산 관련 내부통제 시스템의 문제가 있는지와 농협이 전자금융거래법이나 관련 감독규정을 제대로 지켰는지 여부를 살펴볼 계획이다.

또한 외부 용역업체에 대한 관리에 문제점이 있었는지에 대해서도 점검할 방침이다.

3명의 조사팀을 파견한 한은은 농협에 전산장애 사태가 발생했을 당시 한은의 관련 규정을 준수했는지 여부를 조사하고, 지급결제 시스템의 안전성도 점검할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