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車 귀족노조, 代물림까지

입력 2011-04-18 11:31수정 2011-04-18 11:3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올 임단협서 정규직 자녀 채용 특혜 요구

현대자동차 정규직 노조가 올해 임단협 안건으로 ‘장기근속직원 자녀 우선채용’을 내세울 것으로 전해져 논란이 일고 있다.

18일 관련업계와 현대차노조에 따르면 노조집행부는 ‘2011년 임금 및 단체협약 요구안’에 ‘정년퇴직자 및 25년 이상 장기근속자의 자녀에 대해 채용규정상 적합한 경우 우선 채용함을 원칙으로 한다’는 요구조항을 신설했다.

노조는 집행부 단위에서 만든 이 단협안을 이날 전체 대의원 500여명이 참석하는 임시대의원대회에 상정하고 대의원 과반 이상 찬성이 나오면 최종확정한다는 계획이다.

노조는 18일 오후 임시대의원회의를 열어 이런 내용을 포함한 단체협약 요구안을 결정할 계획이다.

현대차 노조는 ‘장기근속자 자녀에 대한 가산점 부여’ 논란에 대해 “현대차를 세계적 기업으로 키우는데 노동자들의 노력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에 대한 기여도를 인정해 자녀가 채용을 원할 경우 가산점을 주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현대차 정규직노조 조합원은 총 4만5000명이고 이 가운데 자녀의 현대차 입사혜택을 받을 수 있는 장기근속자는 약 200명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같은 장기근속자는 오는 2018년이면 총 1000여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노조의 이같은 단협안 요구안에 대해 고용 및 신분세습 논란이 예상되는 가운데 일부 대의원이나 현대차 비정규직 노조의 부정적 여론이 일 것으로 보여 실제 대의원대회에서 통과될 지는 미지수다.

민주노총 산하 최대사업장인 현대차 노조의 이같은 ‘채용 특혜’ 요구는 사실상의 정규직 세습이나 마찬가지이며 대기업 노조의 극단적인 이기주의 행태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단협안으로 최종 확정되더라도 노사협상 과정에서 현대차 측이 수용하기에도 어려운 요구안이라는 게 현대차 안팎의 분석이다.

현대차 노조 장규호 대변인은 이와 관련 “무조건 채용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다”며 “오래 근무한 조합원이 회사 발전에 기여한 공로 등을 충분히 감안해 신규채용 시 가산점을 부여하자는 의미이고 최종 확정된 요구안도 아니고 조합원 대의기구인 대의원대회에서 찬반 여론을 알아보고 논의한 뒤 결정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