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PF상환 요구에 건설사 부도 도미노 현실화되나

입력 2011-04-13 11:01수정 2011-04-13 11:5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저축은행 PF 상환 요구에 그룹 계열 건설사는 물론 비교적 탄탄한 중견 건설사들 마저 쓰러지고 있다.

금융권과 건설업계에 따르면 12일 시공능력 34위인 삼부토건이 채권단의 PF상환 압박에 결국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선택했다. 올 들어 월드건설, 진흥기업, LIG건설에 이어 4번째다.

건설업계는 이번 삼부토건의 법정관리에 대해 과도한 사업 확장에 따른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대출 문제 보다는 저축은행 부실에 따른 채권 회수 때문이란 지적이다.

저축은행의 구조조정과 LIG건설 사태 등으로 PF채권 부실화를 우려한 저축은행들이 자금줄을 죄면서 건설사들의 자금난이 심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저축은행들이 중견 건설사에 대해 무리하게 담보를 요구하는 것은 금융당국이 저축은행 구조조정에 따른 PF대출 관련 규제를 강도하고 있기 때문.

이에 대해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에서는 올 하반기 PF여신한도를 25% 정도로 낮춰야하는 상황에서 우량 프로젝트의 PF대출이라고 할지라도 만기연장을 위해서는 신용보강 조치를 취할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금융당국의 규제는 이해하지만 삼부토건 사태에서 처럼 주택시장 침체로 체력이 약화된 건설사들이 부실화될 수 밖에 없다는 분석했다. 즉, 저축은행 등 2금융권의 PF대출 만기 연장을 조건으로 추가 담보를 요구한다면 중견 건설사들의 줄도산이 불가피 하다는 것이다.

작년 말 기준 국내 건설사들의 부동산 PF대출 규모는 67조원에 이르며 이중 저축은행의 PF대출 잔액은 12조2000억원 정도다.

주택시장 침체 장기화로 유동성이 악화돼 있는 상황에서 건설사들에게 신용 보강을 위해 추가 담보를 요구할 경우 이를 감당할 수 있는 건설사는 없다.

금융권은 건설사들이 시장에서 잇따라 퇴출되고 있는 원인이 디레버리징(부채 축소)에 충실하지 않았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건설사들이 금융위기 직후 주택시장이 바로 회복될 것으로 판단하고 레버리징을 줄이는데 소홀했기 때문이라는 것.

건설업계가 줄곧 주장해 온 미분양주택 증가가 원인이 아니라는 애기다. 실제로 지난 금융위기 직후 부터 현재까지 건설사 미분양 주택 수는 절반 가까이 줄었다.

한 중견건설사 임원은“2금융권 등 채권단에서 PF 만기연장을 안 해 줄 경우 중견 건설사의 부도 도미노설이 현실화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주택시장이 호전된다는 전제하에 부도 리스크가 다소 줄어들수는 있겠지만 중견 건설사의 시장 퇴출은 이제부터 시작”이라며 “이른 시간내에 5~6곳의 중견건설사가 추가로 법정관리를 신청하게 될 것이고 올 연말까지 15개가 추가로 무너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