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세권 아파트값 최고 노선은 '3호선'

입력 2011-04-13 10:3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서울지역 역세권 중 아파트 값이 가장 비싼 노선은 지하철 3호선인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정보업체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4월 12일 현재 서울지역 내 지하철 1~9호선 도보 10분 거리 역세권 아파트 가구당 평균매매가는 3호선이 9억9220만원으로 가장 높고 1호선이 4억3033만원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3호선 역세권 아파트 값이 가장 높게 나타난 이유는 3호선이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등 강남3구를 모두 지날 뿐 아니라 성동구, 종로구 등 비교적 입지가 좋은 아파트가 많은 지역을 지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3호선 역세권 아파트 가구수는 총 13만316가구로 9개 노선 중 4번째에 그쳤지만 시가총액은 129조2990억여 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는 역세권 아파트 가구수가 17만8351가구로 9개 노선 중 가장 많은 7호선의 시가총액보다 48조5421억여 원 많은 금액이다.

3호선 다음으로 역세권 아파트 값이 높은 노선은 7억9156만원을 기록한 9호선이었다. 강서구, 동작구, 서초구, 양천구, 영등포구 등을 지나는 9호선은 서초구, 양천구, 영등포구의 아파트 값이 높게 나타났다. 9호선의 역세권 아파트 가구수는 총 8만1021가구로 9개 노선 중 8번째에 불과했지만 시가총액은 64조1333억여 원으로 5위에 해당했다.

강동구와 송파구 등 비교적 노선이 짧은 8호선 역세권 아파트 값은 7억697만원으로 9개 노선 중 3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노선이 짧은 만큼 역세권 아파트 가구수가 총 4만5907가구에 불과해 시가총액도 32조4550억여 원으로 9개 노선 중 가장 적었다.

반면 1호선 역세권 아파트 값은 4억3033만원으로 9개 노선 중 가장 낮은 가격을 기록했다. 이는 노원구, 금천구, 도봉구, 성북구 등 아파트 매매가가 낮은 지역을 많이 지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1호선 역세권 아파트 가구수는 총 11만4873가구로 5위, 시가총액은 49조4337억여 원으로 6위에 해당했다.

7호선도 역세권 아파트 값이 낮게 나타났다. 7호선은 강남구와 서초구는 높았지만 가구수가 많은 노원구, 중랑구의 매매가가 낮아 전체적인 평균이 낮아진 것으로 풀이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