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2대책 영향 수도권 경매시장 주춤

입력 2011-04-04 07:3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낙찰가율 상승폭 지난해 8월 이후 7개월來 최저

정부의 3·22주택거래활성화 대책 발표 여파로 수도권아파트 낙찰가율 상승폭이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4일 경매정보업체 부동산태인에 따르면 지난달 수도권아파트 낙찰가율은 지난 2월(83.29%) 보다 0.18%p 상승한 83.47%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8월 이후 가장 낮은 상승 폭이다.

수도권아파트 낙찰가율 상승폭은 지난해 8.29부동산활성화 대책 발표 이후 지난 2월까지 1% 안팎을 기록해 왔다. 그러나 3·22주택거래활성화 방안 발표 이후 투자심리가 얼어 붙으면서 낙찰가율 상승폭이 둔화된 것이다.

실제 지난달 상순(1~15일) 수도권아파트 낙찰가율은 84.13%이었지만 하순(16~31일)에는 82.82%로 1.31%p 하락하는 등 3·22대책 발표 이후 위축되는 모습을 보였다.

지난달 서울아파트 낙찰가율은 83.73%로 지난 2월(83.61%)보다 0.12%p 상승했지만 하순(82.58%)으로 접어들면서 낙찰가율이 상순(84.93%)보다 2.35%p 하락했다.

경기지역도 83.5%로 지난 2월(83.41%)보다 0.09%p 상승했지만 하순(83.52%)으로 접어들면서 상순(83.48%)보다 낙찰가율이 0.04%p 낮아졌다. 인천 역시 80.78%에서 81.76%로 월간 낙찰가율은 상승했지만 하순(80.5%)으로 가면서 상순(83.5%)보다 2.79%p 하락했다.

낙찰률과 입찰경쟁률도 하순으로 접어들면서 하락 반전했다. 이달 상순 수도권아파트 낙찰률은 37.09%였지만 하순에는 32.1%로 4.99%p 하락했고, 입찰경쟁률도 7.29명에서 6.09명으로 1.2명 감소했다.

부동산태인 이정민 팀장은 “과거 DTI규제 시행 이후 낙찰가율이 한달 만에 2~3% 가량 하락했음에 비춰볼 때 단기적으로는 투자심리가 얼어 붙어 시장이 침체될 수 있지만, 이번 DTI규제가 집값을 잡기 위한 목적이 아닌데다 전세난도 아직 안정화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지난해 상반기처럼 시장이 위축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